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스타+

‘군함도’, 기억해야 할 역사와 진부한 전개의 아이러니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텐아시아=현지민 기자]
‘군함도’ 메인 포스터 / 사진제공=CJ엔터테인먼트

‘군함도’ 메인 포스터 / 사진제공=CJ엔터테인먼트

220억의 제작비를 쏟은 대작이다. 황정민·소지섭·송중기 등의 호화로운 캐스팅까지 더해지며 2017년 최고 기대작이 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일본의 하시마 섬이 감춘 비밀을 조명했다는 점에서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 이목을 집중시켰다. 열아홉 번 째 ‘1000만 영화’ 탄생의 기대감이 커졌다. 영화에는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는 화려한 볼거리가 담겼다. 하지만 1000만 영화의 흥행 공식을 따르는 다소 진부한 전개가 피로도를 높인다.

‘군함도’는 일제강점기, 일본 군함도(하시마 섬)에 강제 징용된 후 목숨을 걸고 탈출을 시도하는 조선인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경성 반도호텔 악단장 강옥(황정민)과 그의 딸 소희(김수안), 종로 일대를 주름잡던 칠성(소지섭), 일제 치하에 온갖 고초를 겪어온 말년(이정현) 등 각기 다른 사연을 품은 조선인들이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속아 군함도에 모인다. 하지만 그곳은 ‘지옥섬’이다. 조선인들은 해저 1000미터 깊이의 막장 속에서 가스 폭발의 위험을 감수하며 노역을 해야 한다. 일본 전역에 미국의 폭격이 시작되고 일본의 패색이 짙어지자 일본은 조선인에게 저지른 만행을 은폐하기 위해 그들을 갱도에 가둔 채 폭파하려고 한다. 이를 눈치 챈 조선인들은 섬 탈출을 감행한다.

극 초반 체구가 작은 어린 소년들이 좁은 굴에 들어가 강제노동을 하는 모습과 얼굴을 알아보기도 힘든 노동자들의 빼빼 마른 몸은 충격적으로 다가온다. 뒤이어 섬에 입장하는 인물들의 어리둥절한 모습과 소풍을 연상케 하는 신나는 배경음악은 묘한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며 몰입도를 높인다. 1945년 군함도의 2/3를 재현한 세트 역시 놀랍다. 군함도의 상징인 지옥계단을 비롯한 거주구역, 선착장과 학교 운동장, 번화한 유곽과 강제 징용이 이뤄지는 탄광 내외부가 섬세하게 펼쳐지며 사실감을 준다.

본격적인 전개와 함께 몰입을 깨는 건 곳곳에 숨겨진 티 나는 ‘장치’다. 후반부 감정의 극대화를 위한 웃음 포인트와 ‘탈출’에서 오는 긴장감, 눈물을 쏟게 하는 뻔한 상황과 대사 등은 감동 이전에 피로를 유발한다. 아버지의 부성애, 딸의 순진무구함, 나약한 여성이 뿜어내는 강인함, 양아치의 의리, 군인의 측은지심 등의 감정 역시 뒷이야기를 예측 가능하게 한다.

이를 힘 있게 이끄는 건 배우들의 열연이다. 황정민은 순발력과 눈치로 일본인들을 회유하지만 위기의 순간에 부성애를 폭발시키는 강옥을 연기해 극에 무게감을 더한다. 소지섭은 현실에 타협하면서도 동지애를 잃지 않는 칠성 역으로 극에 긴장감과 여운을 동시에 선사한다. 조선인들의 탈출을 돕는 광복군 무영 역의 송중기나, 위안부로 끌려갔음에도 강인함을 잃지 않는 말년 역의 이정현 역시 강렬한 존재감을 과시한다.

가장 눈길을 끄는 건 강옥의 딸 소희 역으로 열연한 아역배우 김수안이다. 아버지를 호통 치는 모습으로 관객들을 웃겼다가 한 순간 처절한 연기까지 소화하며 눈물을 쏟게 만들며 관객과 ‘밀당’한다.

반일감정을 조장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했지만 이분법적 사고를 경계했다는 점은 ‘군함도’가 가지는 신선한 포인트다. 중간 관리자라는 명목으로 조선인들을 더욱 옥죄는 조선인들의 모습이나, ‘조선인 포주’에 치를 떠는 말년의 대사 등이 이를 설명한다. 착한 조선과 나쁜 일본이 아니라 인물 개개인의 이야기에 집중한다.

시작과 끝은 흑백으로 연출됐다. 그 안에 스토리가 생동감 있게 펼쳐진다. 과거의 고통이 아직도 생생하다는 것을 암시하는 듯 보여 더욱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다소 지루할 수 있는 전개에도 역사적 사실까지 그저 ‘과거의 일’로 치부할 수 없는 이유다. 오는 26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현지민 기자 hhyun418@tenasia.co.kr

오늘의 신문 - 2024.05.03(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