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란 특검의 칼끝이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을 향하기 시작하면서 국민의힘 내부에 '위헌 정당 해산'에 대한 공포가 엄습하는 분위기다. 특히 추경호 전 원내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기점으로 한동안 잠잠했던 여권의 해산 공세도 다시 거세지고 있다.

특검이 추 전 원내대표 신병 확보에 성공할 경우 '공범'으로 의심받는 다른 의원들에 대한 수사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검도 공개적으로 공범 가능성을 언급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증인신문, 추가 조사를 통해 공범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인지가 가능할 것 같다"고 했다. 일련의 흐름은 국민의힘의 소위 '내란 리스크'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국민의힘은 "추 전 원내대표 구속영장은 너무 무리한 영장이라 기각될 것 같다"(초선 의원)고 전망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추 전 원내대표를 두고 불거진 사법 리스크를 고리로 다시 국민의힘 해산 심판론에 불을 지피고 있다. "추 전 원내대표 혐의가 유죄로 확정되면 내란에 직접 가담한 국민의힘은 100번이고 정당 해산감"(정청래 대표), "추 전 원내대표 구속영장 청구서는 국민의힘이 내란에 가담했다는 인증서"(전현희 최고위원) 등이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의 분열도 유도하고 있다. 김용민 민주당 의원은 라디오에서 "국민의힘 내부에서 차라리 정당 해산돼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게 낫다며 정당 해산을 원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얘기도 들려온다"고 했다. 실제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정당 해산을 기정사실로 여기며 국민의힘이 정부·여당에 의해 해산되는 것보다 자발적으로 해산하는 것이 더 낫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추 전 원내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 여부, 유무죄에 따라 정부·여당의 정당해산심판 청구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추 전 원내대표가 구속되면 (민주당은) 곧바로 국민의힘 해산 요구를 할 것"이라며 "아마 좌파 일색으로 구성된 헌법재판소에서 어떤 결정을 할지 예상해볼 수도 있다"고 했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헌법재판소에서 당연히 받아들여지지 않겠지만, 청구 자체만으로 부담"이라고 했다.
정광재 동연정치연구소장은 "민주당 스스로도 정당해산심판 청구가 기각될 것이라는 건 충분히 알고 있다"며 "그런데도 이렇게 공세를 펴는 이유는 정치적으로 유리하다는 판단 아래 정치적 구호 차원에서 위헌 정당 해산을 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준일 시사평론가는 라디오에서 "추 전 원내대표가 1심에서 유죄가 나오면 국민 여론이 들끓을 것이다. 그럼 법무부 장관이 (헌재의) 판단을 구해볼 것"이라며 "국민의힘 사람들 얘기 들어보면 완전 졸아 있다"고 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주)한국경제신문사 | 서울시 중구 청파로 463 한국경제신문사 빌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