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돈 다시 돌기 시작" 소비쿠폰 뿌리자…집값 자극 우려 커졌다 [강진규의 데이터너머]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소비쿠폰 뿌리자
통화량 3년 만에 최대 증가
부동산 자극 우려


지난 8월 통화량(M2)이 지난 2022년 이후 약 3년만에 최대 규모로 증가했다. 채권 등 수익증권에 자금이 몰린 데다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재정자금도 큰 폭으로 늘었다. 통화량 증가에 따른 부동산 시장 자극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8월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M2는 4400조2000억원(평잔 기준)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55조8000억원 증가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4400조원을 돌파했다. 전월 대비 증가율은 1.3%로 지난해 3월(1.5%) 이후 1년 5개월만에 최대였다.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하면 통화량 증가율은 8.1%(원계열 기준)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 7월 8.3%를 기록한 이후 3년 1개월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M2에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등이 포함된다. 상품별로 보면 수익증권이 전월에 비해 12조8000억원 증가했다. 채권형 펀드를 중심으로 7월(15조3000억원 증가)에 이어 증가세가 지속됐다. 정기예적금은 증가폭이 전월 4000억원에서 8조300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일부 은행이 예금-대출 비율 관리 목적으로 예금을 유치한 영향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증가세도 7조1000억원에서 14조3000억원으로 두배 이상 확대됐다. 지방정부 재정집행 자금이 일시 예치된 영향이 컸다. 이는 소비쿠폰 효과로 해석된다. 한은 관계자는 "소비쿠폰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로 들어온 자금이 수시입출식예금 잔액 증가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기업이 보유한 통화량이 25조9000억원 늘었다. 가계와 비영리단체는 16조9000억원, 기타금융기관은 10조4000억원 만큼 통화량 증가에 영향을 줬다.

한은은 8월 유동성 증가세에 대해 "일시적 요인이 크다"는 입장이다. 예대율 관리 목적의 정기예금 유치, 지방정부 재정집행 자금 등으로 인한 증가세는 8월 이후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통화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유동성이 부동산 등 자산 시장 과열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020년 발간한 ‘통화 공급 증가의 파급효과와 코로나19 경제 위기’ 보고서에서 이런 관계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통화량이 1% 증가하면 주택 가격이 1년에 걸쳐 0.9% 상승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통화 공급 증가의 영향이 단기적인 주택가격 상승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유동성 확대가 집값 상승으로 이어진 2021년 하반기~2022년 상반기의 시장 상황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통화량까지 두드러지게 증가하면서 한은이 오는 23일 통화정책 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내리기 더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전날 보고서에서 "당분간 동결 기조가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며 "11월에도 부동산 대책의 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런 기조가 최소 내년 1분기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건스탠리도 같은날 보고서를 통해 10월 동결 전망을 내놨다. 캐슬린 오 모건스탠리 한국담당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서울의 집값 추이를 고려하면 한은이 금리 인하를 좀 더 기다릴 가능성이 높다"며 "10월엔 금리를 동결한 뒤 11월에 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10.22(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