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9일 한·미 양국의 후속 무역 협상 타결로 대미 수출 최대 업종인 자동차 품목 관세가 25%에서 15%로 낮아지면서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공략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관세 인하로 4조4000억원을 절감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 분석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전날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을 전했다. 김 실장은 무역 협상 타결로 자동차 및 부품 관세를 현행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은 경쟁국인 일본, 유럽연합(EU)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아 일본 도요타, 독일 폭스바겐 등과 대등한 위치에서 경젱할 수 있게 됐다.
자동차 업계는 숨통을 트이게 됐다. 자동차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대미 수출 산업이다. 지난해 국내 완성차의 대미 수출액은 347억달러로 전체 자동차 수출액(708억 달러)의 절반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산 자동차에 25% 품목 관세를 적용하고 지난 7월 자동차 품목 관세가 본격 적용되면서 현대차·기아는 지난 2분기 약 1조6000억원의 손실을 봤다고 밝혔다. 3분기 실적에선 관세 영향을 온전히 적용받아 손실 규모가 2조5000억원 안팎으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는 이날, 기아는 내일(31일) 각각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업계와 증권가는 현대차·기아가 연간 4조4000억원 이상의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올투자증권에 따르면 관세 25% 기준 현대차·기아의 연간 손실 비용은 현대차 6조원, 기아 5조원으로 총 11조원에 달한다. 이에 비해 관세율 15% 적용시 관세 손실 비용은 현대차 3조6000억원, 기아 3조원 등으로 추정돼 총 4조4000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최대 선진 시장인 미국 공략이 더 가팔라질 전망. 미국은 제네시스를 포함해 현대차·기아의 최대 시장으로 최근 10% 수준의 두 자릿수 점유율을 기록하며 현지 4위 업체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역시 판매 호조세를 이어가며 역대 최대 실적 경신을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 3분기 현대차·기아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48만175대로 역대 3분기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 3월 준공한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본격 가동해 현지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를 혼류 생산하며 시장에 유연하게 대응해 미국 내 생산량을 지난해 70여만대에서 현행 100만대, 향후 120만대까지 점진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측은 관세 협상 타결과 관련해 "어려운 협상 과정을 거쳐 타결에 이르기까지 헌신적으로 노력해 주신 정부에 감사드린다. 앞으로도 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 방안을 추진하겠다"며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기술 혁신 등을 통해 내실을 더욱 다지겠다"고 말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주)한국경제신문사 | 서울시 중구 청파로 463 한국경제신문사 빌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