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지면기사

공장 옥상에 태양광…광주 산단, RE100 속도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광주첨단산단에 자급자족 에너지 인프라 구축

산단公 광주본부, 320억 투입
태양광발전·탄소저감설비 교체
금형제조사 매달 1500만원 절감
고효율 설비 교체 업체도 효과
2030년 에너지자립률 2.4% 목표

한국산업단지공단 광주지역본부가 지역 산단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태양광 발전설비와 탄소 저감 설비 교체를 지원해 산단 기업들이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기반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다. 기업들은 전기료 절감은 물론 RE100 투자 이력 인증을 받아 유럽 수출길을 개척하는 등 신규 수익 창출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산단공, 태양광 설비 구축 지원
27일 산단공 광주본부에 따르면 총사업비 320억원(국비 200억원 등)을 투입하는 이 사업은 광주첨단산단에 최대 8.5메가와트(㎿)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하고 탄소 저감 설비 교체를 지원한다. 기업들은 국비 75%(자부담 25%)를 지원받아 자가 소비형(발전한 전기를 직접 사용) 또는 직접 전력구매계약(PPA) 등의 방식을 선택해 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 지난달 기준으로 자가 소비형은 목표 용량 4㎿ 중 3.534㎿를, 직접 PPA형은 4.2㎿ 중 0.668㎿를 완료했다.

수혜 기업들은 이 사업으로 RE100 달성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한 걸음 다가섰다고 평가한다. 타이어 금형 제조 전문기업인 다이나믹디자인(대표 황응연)은 작년 7월, 지난 6월에 걸쳐 600킬로와트(㎾)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공장 지붕에 설치했다. 이 업체는 태양광 발전으로 연간 8.26%의 전기 사용 절감 효과를 봤다. 전기료로 따지면 매달 800만~1500만원이 줄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중소기업 RE100 기반 마련”
국비 70%(최대 1억원)를 지원받아 공장 주요 설비를 탄소 저감(고효율) 설비로 교체한 기업들도 사업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플라스틱 사출 제품을 제조하는 한맥전자(회장 최경관)는 최근 사출 작업 때 가장 중요한 컴프레서(공기 압축기) 두 대를 사업 지원을 받아 교체했다. 연간 18억원의 전기료를 부담하던 이 업체는 고효율 장비로 바꾸면서 대당 연간 전기료 1840만원의 절감 효과를 예상한다. 여기에 고성능 최신 설비로 제품 불량률이 0.4% 감소한 점과 설비수선비 절감 등을 더하면 연간 3200만원 정도의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산단공 광주본부는 첨단산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1만49메가와트시(㎿h)로 끌어올려 2030년까지 에너지자립률 2.4%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이렇게 되면 에너지 효율 향상은 1만1929㎿h에 이른다.

홍영기 산단공 광주본부장은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운영사업의 지원을 받은 수혜 기업들이 에너지 절감 및 사업 안정화에 실질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며 “중소기업의 RE100 기반 마련과 탄소중립 산단 조성 실현을 위해 민관이 함께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광주=임동률 기자 exian@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11.20(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