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은 2023년 8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개시했지만 2년4개월 전 이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관련 대응 예산은 2021년부터 편성됐다.
해수부는 17개 사업에 2조3406억원을 지출해 가장 많은 예산을 썼다. 수산물 상생할인 지원(5504억원), 수산물 수매 지원(4770억원), 수산금융 자금 이차보전(4346억원) 등 수산업계 피해를 지원하는 사업이 많았다. 수산물 품질관리(443억원), 수산물 위생관리(394억원), 해양환경 감시 체계 구축(347억원), 방사능 탐지 기술 개발(164억원), 천일염 방사능 검사 지원(37억원) 등 방사능 검사에도 적지 않은 금액이 쓰였다.
식약처는 방사능 검사장비 확충 사업에 46억원을,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연구 운영비 지원에 90억원을 집행했다.
방류 시작 이후부터 지난 8월까지 정부는 2년간 총 9만9932건에 달하는 방사능 검사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물 생산(3만1885건), 유통(2만9590건), 수입통관(1만1095건), 국내 해역 방사능 조사(연안 8788건, 원근해 5977건), 천일염 검사(6957건) 등이 주 대상이었다. 그러나 약 10만 건 모두 유의미한 방사능 수치가 나타나지 않아 전부 ‘불검출’ 또는 ‘적합’ 판정을 받았다.
민주당은 방류 전후 두 달간(7~9월) 47건에 달하는 논평도 냈다. “오염수를 매일 마셔도 상관없다는 돌팔이 과학자를 불러다 발표하는 게 괴담” “핵 오염수 대신 아예 핵 폐수라고 부르겠다”는 등 극단적 발언도 잇따랐다. 이후 수산물 소비가 급감하고 천일염 사재기가 발생하는 등 국민 심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는 게 야당의 시각이다.
윤 의원은 “광우병 사태, 사드 전자파 루머에 이어 ‘아니면 말고’ 식 괴담 정치의 대가로 수조원의 혈세가 쓰였다”며 “과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루머를 정치권이 앞장서서 확산해 사회적 비용을 급증시키는 일이 되풀이돼선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