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광은 낮 시간대에만 전기를 생산한다. 해가 지면 발전량은 0으로 뚝 떨어진다. 이처럼 발전량을 임의로 늘리거나 줄이기 어려운 탓에 '경직성 전원'이라 불리고, 연간 실제 설비 가동률은 16~18%로 매우 낮은 편이다.
태양빛을 전기로 바꾸는 비율(발전효율)도 14~24%에 불과하다.(원전의 발전효율은 39%, 설비 이용률은 80%) 이런 한계들로 인해 태양광은 패널을 더 깔아야 많은 양의 전기를 뽑아낼 수 있는데, 한국처럼 좁은 국토에선 설치 면적에도 한계가 있다.

5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태양광 연구개발(R&D) 기획단'을 출범시키며 글로벌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초고효율 탠덤 기술 확보와 조기 상용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는 기존 태양광 기술의 한계를 넘어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차세대 시장 주도권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전략이다.
이번 사업 추진의 배경에는 이호현 기후부 2차관이 과거 연구보고서에서 지적한 내용들이 자리잡고 있다. 이 차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주력인 실리콘 태양전지는 '쇼클리-퀴서 한계'로 불리는 29%의 발전효율 이론적 한계치에 거의 도달했다. (쇼클리-퀴서 한계란 단일 접합 태양전지의 이론상 최대 효율 한계)

기후부는 이 차관이 보고서에서 제안했던 '기가와트(GW)급 상용화 프로젝트' 구상을 구체화해 이번 기획단을 출범시켰다. 이를 통해 2~3년 내 탠덤셀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대규모 실증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탠덤 전지 효율 30%, 모듈 효율 28% 달성을 목표로 대면적 모듈 개발 등 핵심 기술 확보에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내년 정부 R&D 예산안에서 태양광 분야 예산을 전년 대비 47% 증액한 693억 원으로 편성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임하댐은 국내 1호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라며 "교차 송전 방식을 통해 전국적인 전력 계통망 부족에도 불구하고 신규 송전선로 접속 시기보다 5년이나 앞당겨 발전을 개시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안동시 2만여 가구가 5년간 사용할 308 기가와트시(GWh) 전기를 조기에 공급할 수 있게 됐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