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은 협상 과정을 설명했다. 석방은 애초 이날 새벽 예정이었으나, 전날 밤 미 당국이 갑자기 보류 지시를 내리면서 혼란이 빚어졌다. 구금 시설 관계자도 이유를 묻는 질문에 "우리도 모른다. 그런데 위에서 중단하라고 지시했다"고만 답했다.
일부 언론은 수갑 등 속박 도구 사용 문제가 원인이라고 보도했지만, 외교부는 "(수갑 이슈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 출국 지연과는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국 정부는 이번만큼은 속박 도구를 사용하지 말 것을 요청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이를 수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지연 사유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근로자들의 '자진 출국'을 보류하고 미국에 남아 현지 인력을 교육·훈련해 줄 수 없겠느냐고 요구했기 때문이었다. 조 장관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면담한 결과,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이 같은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장관은 "우리 국민이 대단히 놀라고 지친 상태여서 먼저 귀국했다가 다시 (미국에 돌아와서) 일하는 게 좋겠다"고 설명했고, 미국 측도 이를 존중해 귀국을 허용했다. 외교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인들이 돌아가지 않고 계속 (미국에 남아) 일하게 해주겠다고 한 건 불이익이 없게 해주겠다는 것과 같다고 우리는 이해한다"고 밝혔다.
결국 한국인 근로자들은 미국 측으로부터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을 것이라는 보장을 받고 11일 정오께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