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고난 지휘자이자 (공연) 프로그래머인 최수열은 생상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3번의 페어링으로 드뷔시의 바다를 선택했다. 전직 해군인 드뷔시의 아버지는 아들이 항해사가 되기를 바랐지만 드뷔시가 아홉 살이 되던 해 파리 코뮌에 가담한 대가로 징역을 살게 돼 직장과 시민권을 잃었다. 이 사건으로 후견인에게 맡겨진 드뷔시는 바다가 아니라 피아노를 만나 파리 음악원에 입학했다. 하지만 드뷔시의 마음에는 항상 바다가 있었고, 음악의 색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게 되자 그 바다를 교향시로 만들었다. 바다를 향한 마음을 타고난 드뷔시의 음악은 한여름 밤에 어울리는 곡으로 손꼽힌다.
음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신예 바이올리니스트와의 협주, 논리적 형식은 물론 형체가 없는 바다 풍경을 그리는 인상파 작곡가의 교향시로 프로그램을 꾸리는 데 최수열은 주저하지 않았다. 지난해부터 시대를 넘나드는 레퍼토리로 호흡을 맞춰온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이 함께하기 때문이다.
현악기들의 얕은 떨림을 뚫고 김서현이 활을 들자 생상스 바이올린 협주곡 3번 1악장의 서주가 깊고 차분하게 울려 퍼졌다. 분명 힘이 있는 소리였지만 김서현의 표정과 몸짓은 오히려 차분하고 고요했다. 자칫 감정이 과하게 드러날 수 있는 독주 부분에서도 김서현은 균형감을 유지하며 연주를 이어갔고, 오케스트라는 햇살과 바람이 돼 자연스럽게 바이올린의 소리를 감쌌다. 2악장에서는 김서현 특유의 청아하고 맑은 음색이 마치 무대 위로 새를 불러온 듯한 착각을 일으켰다. 오보에, 플루트, 바이올린과 노래를 주고받을 때 세밀하게 음색을 바꿔가며 하모니를 이루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이어 3악장에서 김서현은 긴장감과 비장미를 살린 서주로 객석을 다시 높은 산, 깊은 숲으로 이끌었다. 최수열은 낮은 자세로 악기들을 살피며 움직임을 세밀하게 조정했고, 그 사이로 시원한 바람과 같은 바이올린 연주가 객석 곳곳에 생동감을 전달했다.
드뷔시의 교향시를 연주하는 2부에서 오케스트라는 좀 더 볼륨을 키워 거대한 바다가 됐다. 일렁이는 물결처럼 입체적인 느낌을 한껏 살리며 시작한 첫 악장에서는 플루트와 하프, 오보에와 바이올린, 첼로와 호른 등 현악기와 관악기의 생동감 있는 대화가 물결의 다양한 층위를 묘사했다. 마지막 코다에서 볼륨을 높인 오케스트라는 온도를 서서히 높이며 따뜻한 햇살을 그려내기도 했다.
두 번째 악장에서 최수열은 온도를 한껏 낮춰 바다를 탐험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줬다. 현악기는 물의 작은 흐름이 되고 목관악기는 그 속에서 춤추는 물고기로, 금관악기는 바다의 메아리로 변신했다. 바다에서 일어나는 어떤 생성과 소멸이 다이내믹하게 펼쳐졌다.
타고난 바이올리니스트와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보여준 고전음악의 향연은 그 어느 여름 축제 현장도 부럽지 않게 만들었다. 축제의 순간에 배우 류준열, 이상윤, 최태준, 박형식 등 특별한 손님도 함께했다는 후문이다.
조원진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