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펑펑 터졌다"…마포 화재 아파트 발화 세대에서 배터리팩 발견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18명의 사상자를 낸 서울 마포구 창전동 아파트의 발화 세대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팩이 발견됐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충전 중이던 전동 스쿠터 배터리가 발화점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소방 당국과 경찰, 한국전기안전공사 등 15명이 18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약 4시간가량 합동 감식을 벌였다. 소방 관계자는 감식 후 취재진에게 화재가 시작된 세대의 한 방에서 배터리 팩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곳에서는 전날 오전 8시 11분께 큰 불이 나 모자 관계인 20대 남성과 60대 여성 등 2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쳤다. 화재가 시작된 세대는 전소했고 인접 세대도 일부 소실됐다. 소방 당국은 재산 피해 규모를 1억5318만원 상당으로 추산했다.

화재 당시 상황에 대해 한 주민은 "갑자기 뭔가 터지는 듯 펑펑 소리가 연달아 나면서 까만 연기가 치솟았다"며 "소리가 아주 커서 나무들도 흔들렸다"고 설명했다.

전기 자전거와 스쿠터 등의 전력원으로 주로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가 잇따르고 있다. 이달 12일에는 서울대 관악캠퍼스 유회진학술정보관에서 충전 중이던 자율주행 RC카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불이 나 건물 안에 있던 40여명이 대피했다. 6월에도 세종시 한 아파트에 보관 중이던 RC카 배터리에서 불이 났고, 대구 한 아파트에서는 충전 중이던 무선 선풍기 배터리가 폭발했다.

소방청에 따르면 2020년부터 5년간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총 678건 발생했다. 2020년 98건에서 2021년 106건, 2022년 178건, 2023년 179건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2024년에는 117건으로 증가세가 꺾였지만, 여전히 해마다 100건 이상 발생한다.

배터리 폭발 화재는 일반 화재와 달리 '열 폭주' 현상으로 단시간에 불이 커진다. 열 폭주는 리튬 배터리 내부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는 막이 터지고 합선이 발생하면서 고열이 나는 현상을 말한다. 지속해서 열이 발생하기에 일반 소화기나 물로는 불을 끄기 어렵고, 이 때문에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소방청은 배터리 이용 과정에서 타는 냄새가 나거나 외형이 부푸는 경우, 과도한 열이 발생하는 경우에 즉시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과충전을 막기 위해 외출하거나 잠을 자는 동안 충전은 삼가할 것을 당부한다.

한 전문가는 "전극 분리막이 훼손되지 않도록 배터리에 가해지는 충격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며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 스쿠터나 자전거에 큰 충격을 주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배터리의 전극 분리막이 훼손돼 열 폭주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 스쿠터, 자전거 등에 가해지는 충격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실내에서 충전할 경우 대피로를 막지 않도록 충전 위치에도 신경써야 한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8.19(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