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지면기사

"테크 투자만이 美를 위대하게"…VC에 부는 애국주의 열풍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미국 10대 벤처캐피털, 올해 투자 전수조사

패권전쟁이 부른 '쩐의 대이동'
스타트업 격전지는 AI


미국 대표 벤처캐피털(VC) 앤드리슨호로위츠(a16z)는 2023년 신규 출자금의 8%인 6억달러(약 8300억원)를 투자해 ‘아메리칸 다이내미즘’ 펀드를 조성했다. 제조, 로봇, 우주, 방위산업 등 50개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펀드다. 이를 소개한 a16z 웹사이트는 뜬금없이 중국의 2027년 대만 침공 시나리오를 언급했다.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을 제조하는 대만 TSMC가 중국의 손에 들어가면 반도체 공급망이 마비된다는 것이다. a16z는 이런 상황을 막을 길은 하나뿐이라고 역설한다. ‘기술에 기반한 힘을 통한 평화.’ 미국 실리콘밸리가 주도하는 하드테크 투자의 배경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다.
◇ 中 맞서 정부와 한 몸 된 VC
13일(현지시간) 테크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 VC업계에서는 모험자본과 국가의 이익이 일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a16z는 지난해 말 백악관 사이버안보보좌관을 지낸 맷 크로닌을 회사의 첫 수석국가안보고문으로 영입했다. ‘민간 자본은 정치와 거리를 둬야 한다’는 불문율을 지켜온 VC업계에서는 이례적인 인사로 평가된다. 크로닌 고문은 지난 6월 언론 기고를 통해 “우리는 다시 강대국 간 갈등의 시대에 살고 있다”며 “실존적 위기의 순간에는 자유 기업과 정부가 공생적으로 기능해야 한다”고 밝혔다.

민간 투자가 ‘체제 경쟁’의 일부로 급격하게 전환하면서 한때 실리콘밸리의 총애를 받은 ‘소프트테크’ 투자는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실리콘밸리 VC인 베터투모로벤처스의 실 모노트 제너럴파트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사업을 쉽게 구축하고 돈을 벌던 손쉬운 기술 시대는 끝났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변화는 ‘또 다른 페이스북을 만드는 것으로는 베끼는 데 능숙한 중국을 이길 수 없다’는 피터 틸 파운더스펀드 창업자의 진단과 정확히 일치한다. 중국 기반 온라인쇼핑몰 쉬인은 지난해 미국 패스트패션 시장에서 점유율 48%를 기록했다. 틱톡은 Z세대 사이에서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을 제치고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 “AI 이겨야 체제 경쟁 승리”
미국 정부와 VC들은 AI를 중국의 추격을 따돌릴 승부처로 보고 있다. 경제와 군사, 교육 등 사회 전반을 뒤바꿀 게임 체인저라는 이유에서다. 비노드 코슬라 코슬라벤처스 창업자는 “증기기관과 전기가 인간의 근육을 대체했다면, AI는 두뇌를 대체한다”며 “AI 경쟁에서 승리하는 나라가 경제 전쟁에서 이기고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이데올로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마크 앤드리슨 a16z 창업자는 “미국식 오픈소스 대규모언어모델(LLM)을 받아들인 세계와 중국 LLM을 수용한 세계를 비교해 보라”며 AI 모델 경쟁이 곧 체제 경쟁이라고 짚었다.

AI와 더불어 딥테크 투자도 급증하고 있다. 체제 경쟁의 근간이 될 무기·에너지·항공우주 등이 그간 정보기술(IT) 분야에 비해 지체됐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다. 틸 창업자는 “우리는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원했지만 얻은 것은 140자(글자 수를 제한한 트위터를 의미)뿐”이라고 지적해 왔다. 그는 1960년대 미·소 냉전 시기 실리콘밸리에서 로켓, 초음속 항공, 원자력 발전 등 물질세계의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했지만, 1990년대 이후 이 같은 발전이 ‘비트의 세계’에 한정됐다고 비판했다.

스타트업들도 하드테크 투자 흐름에 맞춰 기업 체질을 바꾸고 있다.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사인 어플라이드인튜이션은 방산기업으로 탈바꿈 중이다. 올해 초 군사용 AI 소프트웨어 개발사인 에피사이를 인수한 뒤 6월 6억달러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뉴욕타임스(NYT)는 1950년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등의 투자로 탄생한 실리콘밸리의 기원을 언급하며 “이는 자연스러운 근원으로의 회귀”라고 분석했다.

실리콘밸리=김인엽 특파원

하드테크

물리적 하드웨어와 고난도 공학을 필요로 하는 방위산업·우주·인공지능(AI)·바이오 등의 기술.
소프트웨어, 인터넷 서비스와 같이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소프트테크와 달리 기술 장벽이 높아 장기간의 연구개발(R&D) 및 대규모 자본 투자가 필요하다.

오늘의 신문 - 2025.08.27(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