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미·러 정상회담 앞둔 푸틴…김정은과 전화로 '작전회의'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정보 공유하며 '혈맹' 과시

크렘린궁 "북한군 용기에 감사"
金 "러가 취할 조치 전적 지지"
푸틴, 트럼프에 金입장 전할수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통화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매체들은 처음으로 최고권력자와 외국 정상 간 통화를 공개하며 러시아와의 밀월 관계를 과시했다.

러시아 크렘린궁(대통령실)은 13일 “푸틴 대통령이 미·러 정상회담과 관련된 내용을 김정은을 통해 공유했다”며 향후 두 정상이 개인적 연락을 지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15일 미국 알래스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논의될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문제는 북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북한은 지난해 특수부대를 포함한 1만 명 이상의 전투병을 쿠르스크 지역에 파병해 러시아군과 함께 싸웠고, 포탄과 미사일 등 각종 무기도 수출하고 있다. 크렘린궁은 “쿠르스크 영토를 해방하는 동안 북한이 제공한 지원과 북한군이 보여준 용기에 대해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감사를 표했다”고 전했다.

미·러 정상의 논의 과정에서 북한군 철수 문제를 비롯해 미·북 관계 이슈도 언급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미·러 정상회담에서) 종전에 대한 의견 접근이 이뤄진다면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관심사에 대한 김정은의 입장을 전달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푸틴이 미국의 적대적 대북 정책 폐기와 대북 제재 해제 문제를 짚고 넘어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에게 김정은의 안부를 묻는 식으로 관심을 표명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김정은과의 대화 의지를 밝히고 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달 담화에서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비핵화 협상 거부 입장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사실상의 핵보유국 공인을 전제로 한 핵 군축 협상 등엔 응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조선중앙통신 등도 김정은과 푸틴이 전날 통화한 사실을 보도했다. 북한 매체들은 양국 우호 관련 내용을 강조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러시아와 북한이 앞으로 협력 강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하고 호상 관심사로 되는 문제들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이 15일 북한이 조국해방(광복절) 80주년을 맞는 것을 축하하자 김정은은 “우리 전체 인민은 80년 전 붉은군대 장병들이 세운 영웅적 위훈에 대해 진정한 국제주의의 참된 귀감으로 경건히 추억하며 조선의 해방을 위해 희생된 소련군 열사들에게 숭고한 경의를 표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의 초대를 받은 김정은이 조만간 러시아를 답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8.13(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