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월 대형 산불 이후 지역 관광 소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관광의존도가 높은 지역의 소비 감소폭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소비 회복을 위해 다층적인 회복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지난 3월22일부터 28일까지 경북·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지역 관광소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산불의 관광소비 영향과 특징: 2025년 경북·경남 산불 분석'데이터를 발표했다. 카드 소비데이터를 활용해 관광소비 변화를 측정, 분석한 것으로, 산불 발생 직후 경북·경남 8개 시군의 관광소비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관광의존도가 높은 청송군(-40.1%), 안동시(-34.9%), 영덕군(-33.4%)에서 소비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청송군의 숙박업 소비는 75.4% 감소하여, 주왕산 국립공원 산불의 직접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관광의존도가 낮은 영양군(-5.5%), 의성군(-4.0%) 등은 상대적으로 완만한 감소폭을 보였다.
4월에는 범정부 차원의 재난복구 지원과 자원봉사자 활동, 공공·민간기관 워크숍 및 MICE 행사 개최 등으로 일부 지역에서 숙박업과 음식점업 소비가 일시적으로 반등했다. 안동시와 영덕군의 숙박업 소비는 4월 둘째 주(4월7일~13일)에 각각 전년 동기대비 124.0%, 107.1% 증가했다.
관광소비는 5월 초 연휴(4월28일~5월4일)를 기점으로 반등했으며, 산불 발생 약 10주 후인 6월 초(6월2일~8일) 부터는 본격적인 회복세에 진입했다. 연구원은 7~8월 여름 성수기를 통해 이러한 회복 흐름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이번 분석은 산불과 같은 재난 발생 시 관광산업 피해 규모는 단순한 산불의 크기나 피해면적이 아닌 관광지 입지, 산업 비중, 관광객 유입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특히 재난 직후 범정부 재난 대응, 자원봉사자 방문, 공공·민간기관 워크샵 실시, MICE 행사 개최 등이 관광소비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상태 차석전문원은 "재난 발생 직후의 소비 급감부터, 복구 인력과 행사 유입에 따른 체류 수요의 점진적 증가, 연휴 기간의 일시적 소비 반등, 그리고 여름 성수기의 본격적인 회복까지 단계별로 소비 패턴이 변화하는 만큼, 이에 맞춘 체계적인 단계별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세원 원장은 "산불과 같은 재난으로 인한 관광소비 위축을 최소화하고 회복을 가속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의 선제 대응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연구가 재난 대응 관광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