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2007년부터 충남대 총장에 임용되기 전까지의 약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가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했고,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이라고 판정받았다”고 말했다. 또 “2007년 이전의 논문들은 저도 한번 카피킬러(논문 표절 심사 프로그램)로 돌려봤는데 표절률이 10%가 겨우 넘었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자는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을 놓고서는 “이공계의 경우 대학원생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교수가 수주해온 국가 과제나 연구 과제로 수행된다”며 “그것을 학생이 세부 과제로 진행하고 발전시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는 게 일반적 (논문) 발표 순서”라고 설명했다. 과제를 수주한 교수가 제1저자가 되는 게 당연하다는 설명이다.
지도교수가 제1저자가 되면 제자들이 추후 논문을 쓰는 과정에서 불이익을 받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는 “충남대에서는 이공계의 경우 교수와 학생이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해야 학위(논문)를 낼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고 했다. 이 후보자의 해명에도 11개 교수·학술단체 연합체인 ‘범학계 국민검증단’의 문제 제기가 이어지자 여당 의원들 사이에서도 “더 명쾌한 해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자녀 불법 조기 유학 논란과 관련해선 몸을 낮췄다. 그는 “불법인지조차 인지를 못 했고 저의 큰 실수였던 것 같다”며 “진심으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다만 자진 사퇴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의에는 사실상 거부의 뜻을 밝혔다.
초중등 교육에 대해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는 여야 의원들이 공통으로 제기했다.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이 법정수업일수(190일)가 며칠인지 묻자 이 후보자는 “정확히 모르겠다”고 답했다. 유보통합 주관 주체를 묻는 질문에 “교육청에서 하고 있다”고 답하자 정 의원은 “교육부가 한다. 모르면 모른다고 하라”고 지적했다.
강현우/이미경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