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짐 뱅크스(공화·인디애나) 의원과 엘리자베스 워런(민주·매사추세츠) 의원은 황 CEO에게 방중 기간 미국 수출 규제 명단에 오른 기업들과의 만남을 피할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또한 중국 군부 또는 정보기관과 협력하는 기업들과의 접촉도 경계하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이번 방중이) 중국 군부와 협력하는 기업에 정당성을 부여하거나 미국 수출 규제의 허점을 악용할 수 있는 논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 CEO는 중국 방문에 앞서 지난 10일 백악관을 찾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도 만난 바 있다. 로이터통신은 황 CEO가 11일 중국을 방문한 것으로 전했다.
미국은 전임 조 바이든 대통령 재임 당시부터 국가 안보를 이유로 자국산 최첨단 반도체 칩의 대중 수출을 제한해왔다.
엔비디아는 이러한 규제를 피하기 위해 기존 H100칩보다 성능이 낮은 H20칩을 개발해 중국에 수출해왔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해당 칩의 수출도 제한하는 조처를 내린 바 있다.
하지만 황 CEO는 미국의 수출 통제가 중국 기업들의 자체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며 비판적인 입장을 고수해왔다.
엔비디아는 미국 규제를 위반하지 않도록 설계된 중국 전용 반도체 칩을 출시할 계획인 것으로도 알려졌다.
한편 미국 의회는 자국산 고성능 반도체의 중국 우회 수출을 우려하며 반도체 칩의 위치 추적을 의무화하는 법안 발의를 추진 중이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