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한국에서 6000㎞ 떨어진 호르무즈 해협이 중요한 이유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최근 중동의 이스라엘과 이란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다. 이스라엘이 먼저 이란의 군 시설을 공격했다. 이란이 핵무기를 개발하지 못하게 막으려는 의도였다. 이스라엘은 이란의 고위 장교 여러 명을 공격해 숨지게 했고, 이란은 미사일을 쏘며 반격했다. 미국도 개입했다. 미국은 지하 깊은 곳에 있는 핵시설까지 파괴할 수 있는 벙커 버스터 폭탄을 이용해 이란의 핵 시설을 공격했다.



이란은 다른 나라들을 향해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바닷길을 막겠다고 경고했다. 그 바닷길은 호르무즈 해협이다. 호르무즈 해협은 중동의 페르시아만과 오만만 사이에 있는 좁은 바닷길이다.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리에게 어떤 영향 미치나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 통로 중 하나다. 중동 국가들이 수출하는 석유의 대부분이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 다른 나라로 간다. 호르무즈 해협에서 가장 좁은 곳은 폭이 약 39㎞로 서울시의 동서 길이 정도밖에 안 되며, 실제로 배가 다닐 수 있는 길은 이보다 훨씬 좁다. 배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들어가는 쪽과 나오는 쪽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이다. 대형 유조선은 한 번에 두세 척 정도만 지나갈 수 있다.

이 해협은 우리나라에도 중요하다. 한국은 석유의 70% 이상을 중동에서 수입한다. 이 중 대부분이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해 온다. 만약 이란이 이 길을 막는다면 석유를 실은 배들이 한국으로 오지 못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기름값이 오른다. 석유는 자동차뿐 아니라 우리 생활 곳곳에서 쓰인다. 석유 가격이 오르면 석유를 원재료로 만드는 물건의 가격이 동시에 올라 인플레이션이 심해진다.

또한 석유를 구하기 어려워지면 공장이 멈추고 일자리가 줄어들 수도 있다. 석유 가격이 올라 물가가 오르고 경제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이런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이스라엘과 이란은 잠시 싸움을 멈췄다. 하지만 두 나라 간 갈등의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다. 이란은 여전히 상황에 따라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호르무즈 해협은 우리나라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만, 이 지역의 정세 변화는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좁은 바닷길 하나가 세계 경제와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by 김형진 연구위원

관련 교과 단원
초등 6–2 사회 1. 세계의 여러 나라들, 초등 6–2 사회 2.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 평화



윗글을 읽고 문제를 풀어 보세요.
여러분의 문해력이 쑥쑥 향상될 거예요!


1. 다음에 나온 말과 그 뜻을 바르게 연결하세요.
① 인플레이션 ⓐ 경제가 나빠지는데 물가도 오르는 어려운 상황
② 스태그플레이션 ⓑ 물건값이 전반적으로 올라서 돈의 가치가 낮아지는 현상

2. 석유값이 오르면 다른 물건값도 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① 석유 매장량이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② 석유는 자동차에만 쓰이기 때문이다.
③ 석유는 다양한 산업과 생활에 쓰이기 때문이다.
④ 석유는 바다를 오염시키기 때문이다.

3. 이란과 이스라엘의 전쟁은 멀리 떨어진 나라에서 일어난 일이지만,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요.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각 나라들은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정답↴
1. ① - ⓑ, ② - ⓐ 2. ③

오늘의 신문 - 2025.07.0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