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이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받은 ‘전국 국립대 교수 이직 현황’에 따르면 서울대에서는 지난 4년간(2021년~2025년 5월 기준) 56명의 교수가 해외 대학으로 옮겼다. 지난해 서울대 전체 교원(2344명)의 2%에 해당하는 수치다. 미국 외에 홍콩, 싱가포르, 중국행을 선택한 교수도 많다.
이공계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계 교수도 ‘한국 엑소더스’에 합류했다. 이직한 교수들의 소속은 인문사회(28명), 자연과학(12명), 공학(12명), 예체능(3명), 의학계열(1명) 순이었다. 이 기간 경영학과와 경제학부에서만 13명이 빠져나갔고, 이 숫자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경제학부 소속 교수 2명이 조만간 홍콩과학기술대로 이적할 예정이다.
서울대 교수들이 해외로 빠져나간 빈자리는 대전, 광주, 대구, 울산에 있는 4대 과학기술원 출신 교수가 채우고 있다. 같은 기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는 119명의 교수가 이탈했다. 18명은 해외 대학으로 이직했다. 28명이 서울대로, 41명은 수도권 대학으로 옮겼다. 지역 국립대에서는 수도권으로, 수도권에서는 해외로 빠져나가는 ‘도미노식 인재 유출’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식의 상아탑 중에서도 최정점에 있는 서울대조차 교수들이 빠져나가는 것은 열악한 인센티브 영향이라는 분석이 많다. 글로벌 인재 유치 전쟁에서 한국 정부와 대학이 후순위로 밀려나고 있다는 얘기다.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서울대 10개 만들기’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수를 국내에 붙잡아 둘 수 있는 인센티브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홍콩과학기술대 경제학과 교수를 겸하고 있는 김현철 연세대 의대 교수는 “한국 학계는 지금 1부 리그로 가느냐, 2부 리그에 머무르느냐 그 기로에 서 있다”고 말했다.

인구감소보다 더 빠른 '인재감소'…대학 등록금 17년째 동결
6일 서울대 금융경제연구원장 출신 경제학부 교수 A씨는 최근 후배 교수 두 명이 홍콩과기대로 옮기기로 한 데 못내 아쉬워하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각각 미시경제학과 계량경제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이들 교수를 붙잡기엔 국내 연구 환경과 현실적 조건이 해외 유수의 대학보다 너무나 열악하기 때문이다. 경제학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인 서울대 현직 교수가 미국이 아니라 홍콩을 선택한 것도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해외 대학과 보상 격차가 이렇게 벌어진 것은 한국 대학 재정 형편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등록금을 인상하는 대학에 국가장학금 일부 유형을 지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17년째 등록금 동결을 압박하고 있다. 대학 등록금에 물가상승률도 반영할 수 없게 되면서 대학 재정은 악화일로다. 교육부에 따르면 사립대 교수 평균 급여는 2019년 1억62만원에서 지난해 1억139만원으로 5년 동안 0.8% 올랐다. 정교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평균으로, 조교수급으로 내려오면 평균 급여는 크게 줄어든다. 이에 비해 지난해 매출 상위 대기업 10곳의 평균 연봉은 모두 1억원이 넘었다.
주요 석학의 연쇄 이탈에 서울대도 호봉제에서 벗어나 성과연봉제 도입을 추진하는 등 개혁에 나섰다. 조교수와 부교수는 호봉 테이블을 적용받지만, 정년을 보장받는 정교수는 호봉 테이블에서 벗어나 성과에 따라 차등 보상하겠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우수 교원에게 인센티브를 주려면 다른 분야 교원의 월급을 깎아야 하는 ‘제로섬’ 구조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임정묵 서울대 교수회장(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은 “전반적인 인건비 증액이 선행돼야 하는 구조로, 정부 동의를 얻는 것이 관건”이라고 했다.
우수한 교수들이 떠나면서 ‘연구 생태계’도 무너지고 있다. 대학원 공동화 현상이 이를 증명한다. 지난해 전국 일반대학원 188곳 중 86%는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전액장학금을 내걸어도 우수 인재들이 대학 대신 기업행을 택하고 있다. 지방뿐 아니라 서울 주요 대학 인문사회계열에서도 중국인 유학생이 정원을 채우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클리블랜드연방은행에서 이코노미스트로 일하다 2009년 한국으로 돌아온 이윤수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어떤 인재가 세상을 바꿀지 모르기 때문에 해외 대학에서는 그만큼 교수를 대우하는 것”이라며 “한국에선 인구 감소 속도보다 인재 감소가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고재연/강진규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