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압박 수위 높이는 트럼프 "9일부터 상호관세 부과"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美, 비관세장벽 완화 등 3대 요구
韓 "창의적 수용 방안 찾는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기한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29일(현지시간) 말했다. 7월 8일 상호관세 유예 기한까지 협상 상대국이 만족스러운 협상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예고한 관세 부과를 강행하겠다고 엄포를 놓은 것이다. 지난주 미국 워싱턴DC에서 3차 관세 실무·기술 협의를 한 새 정부의 부담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조만간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 미국에 25%, 35%, 50% 또는 10% 관세를 지급하면 된다고 말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 4월 공개한 무역 상대국별 상호관세를 차등 부과하면서 관세 협상을 끝내겠다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그는 한국과 일본 자동차 업체가 미국 업체보다 낮은 관세를 적용받는 협정을 체결할 가능성에 대해선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미국 측은 지난주 한·미 3차 관세 기술협의에서 한국 실무 대표단에 비관세 장벽 완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프로젝트 참여 확답, 불균형 무역 해소 방안 제시 등 세 가지 큰 요구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30일 브리핑에서 “미국무역대표부(USTR)의 비관세장벽(NTE) 보고서에 언급된 거의 모든 내용이 거론됐다”며 “수용 가능한 부분은 관계 부처와 협의하며 창의적 방안을 찾는 중”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의 고율 관세 도입 목표가 ‘제조업 부흥’에 있는 만큼 한국이 최적의 파트너라는 점을 (미국에)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는 1주일 앞으로 다가온 협상 기한을 연장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는 분위기다. 산업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기한 연장은 없다’는 발언에 대해선 말을 아끼면서도 “일부 국가가 기본적 합의에 이르더라도 구체화하는 협상을 계속해야 한다”며 “(정부도) 최대한 유예를 끌어내고, 협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국 측은 기존에는 10% 기본관세를 제외한 상호관세만 협상 대상이라는 입장이었지만, 이번에는 한국 정부가 내놓는 ‘약속의 규모’에 따라 철강 자동차 등 25% 품목 관세도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한경제/김대훈 기자 hankyung@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7.02(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