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실시간으로 회의록을 정리하거나 사용자의 일상을 분석해 정보를 제공하는 생활밀착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두 가지를 '에이닷'에 제공한다.
SK텔레콤은 30일 AI 서비스 에이닷에 '노트'와 '브리핑' 등 신규 서비스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보이는 '노트'와 '브리핑'은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목표로 한다. SK텔레콤은 향후 해당 서비스가 정식 출시되면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은 물론 개인 AI 이용경험이 극대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에이닷 '노트'는 음성을 AI로 기록하는 서비스다. 회의나 강의, 상담 등 일상 속 음성을 AI가 실시간으로 받아쓰고 요약하고 정리하는 게 특징이다. 단순히 음성을 받아쓰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문맥에 맞춰 자연스러운 문장 형태로 보정하거나 회의록, 강의 노트 등 다양한 문서 형태로 만드는 식이다.
예컨대 강의 노트를 선택하면 녹음 완료 후 핵심 개념 정리 등을 포함하는 강의 요약은 물론 강의 흐름에 맞춘 구조 정리본까지 받을 수 있다. 동시에 복습을 위한 질문이 함께 생성돼 학습 내용을 되짚어 보며 스스로 강의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SK텔레콤은 에이닷 노트 서비스를 앱과 PC 웹에서 모두 서비스할 방침이다. 오픈 베타 형태로 제공되는 노트는 1회 녹음 당 최대 100분, 월 600분 분량이 제공된다.
에이닷 '브리핑'은 AI 개인 비서 역할을 한다. 사용자의 일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정보를 제공하는 '앰비언트 에이전트' 서비스다. 특히 사용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상황과 맥락을 고려해 선제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하루를 시작할 때 브리핑 서비스가 이용자의 정해진 일정에 따른 동선별 날씨나 관심사 기반의 콘텐츠를 추천하는 식이다.
SK텔레콤은 해당 서비스의 특성상 한 번의 브리핑이 아닌 이전 브리핑 이력과 사용자의 반응과 피드백을 기억해 점점 더 정밀하고 개인화된 '나만의 AI'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브리핑 서비스는 에이닷 이용자 가운데 선착순 2만명을 대상으로 제공된다.
SK텔레콤은 이르면 올해 안에 정식 버전으로 에이닷 노트와 브리핑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김용훈 SK텔레콤 에이닷 사업부장은 "이번 '노트'와 '브리핑' 서비스 베타 버전 추가는 에이닷을 AI 기술로 고객의 일상에 실질적인 가치를 더하는 '생활밀착형 AI 서비스'로 발전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음성 기술과 고객 생활 패턴 기반으로 일상에서 혁신적 사용자 경험을 AI 기반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