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피니언은 2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 기업과의 협력 방안과 자사의 기술 경쟁력에 대해 밝혔다. 인피니언은 차량용 전력 반도체와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센서 반도체 등을 주력 생산한다.
xDC 플랫폼은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차량 모션 제어(VMO) 등 다양한 영역 간 데이터를 통합하고 최적화한 데이터 라우팅(경로 설정)을 제공해 차량 성능과 안전성을 높인다. 존 제어장치는 차량 내 특정 물리적 영역을 관리하면서 센서, 액추에이터 및 주변 장치의 통합을 지원한다. HPC 플랫폼과 연계돼 지능형 차량 아키텍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SDV 핵심 기술이다.
양사간 협력은 기존 텔레매틱스(차량용 통신모듈)에서 SDV까지 협력 범위가 넓어지게 됐다. LG전자의 전장 기술과 인피니언의 반도체 기술이 결합해 첨단 SDV 플랫폼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인피니언은 한화NxMD와도 자동차 무선 커넥티비티 솔루션 협력을 강화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최근 전동화 및 자율주행 기술 발전으로 콕핏 도메인 컨트롤러(CDC) 같은 주요 자동차 모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CDC는 다양한 정보와 기능을 콕핏 내부에 통합하고 다양한 모바일 기기와 원활한 무선 연동을 제공한다.
이번 협력으로 인피니언의 최첨단 무선 연결 기술을 제공하는 'AIROC 와이파이-블루투스 콤보 설루션'이 적용된 한화NxMD의 무선 통신 모듈이 CDC에 장착된다. 이 무선 통신 모듈은 컴팩트한 크기, 뛰어난 성능, 안정적인 연결성 등을 갖춰 글로벌 차량 부품사로부터 최적의 솔루션으로 선택받았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인피니언은 이번 협력으로 국내에서 현대차·기아에 이어 LG, 한화까지 협력사를 늘리게 됐다. 인피니언은 2000년대부터 현대차·기아에 센서반도체, 전력반도체를 공급하면서 관계를 강화해 왔다.
안드레아스 우르시츠 인피니언 마케팅최고책임자(CMO)는 "반도체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은 혁신을 위한 중요한 장소이자 인피니언의 중요한 성장 시장"이라며 "인피니언이 5년 연속 자동차 분야에서 1위를 유지하는 것은 한국의 혁신적인 자동차 산업과 함께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우르시츠 CMO는 "300㎜ 웨이퍼에 GaN 칩을 생산한다는 것은 전력반도체 시장에서 혁신이고, 고객사들의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인피니언은 300㎜ 웨이퍼 실리콘 팹 시설을 순차적으로 GaN 칩 생산 시설로 전환하고 있다.
이승수 인피니언테크놀리지코리아 대표는 "일시적인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이 있지만 차량용 반도체는 20% 후반대의 성장이 계속될 것"이라며 "3년 정도 지나면 전기차 수요는 다시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