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지난 2월 11일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비상계엄 관련 문건들과 노상원 작성 문건들의 유사성 검토'라는 제목의 수사보고서를 작성했다. 보고서에는 "비상계엄 관련 문건들을 노 전 사령관이 작성했을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판단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계엄 선포문, 포고령 1호,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전달된 비상입법기구 관련 문건 등의 제목·목차 양식, 부호, 서체 등이 경찰이 노 전 사령관 주거지에서 확보한 이동식저장장치(USB)에 담긴 다른 문서들과 동일하다는 것이 판단 근거로 전해졌다.
노 전 사령관은 단락을 '■ → ▲ → o → ―' 순서로 목차 구분하고 'o' 표시는 한글 프로그램 특수문자 중 라틴 표기를 활용했다고 한다. 날짜를 적을 때는 월과 일 사이에 마침표를 썼다.
그가 지난해 9월부터 12월 3일까지 총 20여회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공관을 방문하고, 계엄 직전 4일간은 매일 찾아간 것도 의심을 키우는 정황으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노 전 사령관은 2018년 성추행 사건으로 불명예 전역했다. 이후 점집을 차려 역술인으로 활동했다. 경찰은 지난해 12월 그의 점집에서 '500여명 수집', '사살', 'D-1', 'NLL(북방한계선) 인근에서 북의 공격을 유도' 등 문구가 적힌 수첩을 압수한 바 있다.
육사 출신으로 김 전 장관과 여러 번 함께 근무한 노 전 사령관은 지난 1월 장관 '비선'으로 행세하며 부정선거 의혹 수사를 위한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 제2수사단 설치를 추진한 혐의(내란 중요임무 종사) 등으로 구속기소 돼 재판 중이다.
이민형 한경닷컴 기자 mean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