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금호타이어 화재' 원인 밝힌다…"재현실험으로 발화 검증”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소방청, 8개 기관 합동조사 착수

소방청이 지난 17일 발생한 광주 타이어 공장 화재의 정확한 원인 규명에 착수했다. 정부는 8개 기관, 16명 규모의 중앙화재합동조사단을 구성해 20일부터 약 한 달간 본격적인 현장 조사에 나섰다.

소방청은 이번 조사가 단순한 원인 규명을 넘어 제조시설 안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조사단에는 소방청과 국립소방연구원, 방재시험연구원, 한국전기안전공사 등 주요 유관기관과 함께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 민간 공학박사, 대학교 교수 등 전문가 자문진도 참여해 조사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높였다.
“정련공정 관련 기기, 실험으로 발화 검증”
화재가 발생한 곳은 정련 공정 구역으로 생고무를 예열하는 기기에서 발생한 스파크가 발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대해 국립소방연구원은 현장 조건을 재현한 실험을 통해 실제 인화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할 계획이며, 해당 실험은 합동조사단의 활동과 병행해 진행되며 최종 보고서에 반영될 예정이다.

조사단은 ▲전기·기계적 작동 상태 분석 ▲연소 경로 및 피해 범위 파악 ▲관리 소홀·방화 가능성 검토 ▲초기 대응 평가 등 다각적인 항목을 중심으로 현장 감식과 과학 분석을 병행하게 된다.

조사단은 화재로 인한 유해물질 유출 가능성 등 2차 피해까지 포함한 종합 분석을 통해, 향후 제도 개선과 기술적 보완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 활용도 높은 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다.

박근오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중앙합동조사단 결과는 정부와 지자체, 민간에 폭넓게 공유할 것”이라며 “유사 화재 재발 방지와 안전 정책 마련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권용훈 기자 fact@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5.24(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