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청은 이번 조사가 단순한 원인 규명을 넘어 제조시설 안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조사단에는 소방청과 국립소방연구원, 방재시험연구원, 한국전기안전공사 등 주요 유관기관과 함께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 민간 공학박사, 대학교 교수 등 전문가 자문진도 참여해 조사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높였다.
조사단은 ▲전기·기계적 작동 상태 분석 ▲연소 경로 및 피해 범위 파악 ▲관리 소홀·방화 가능성 검토 ▲초기 대응 평가 등 다각적인 항목을 중심으로 현장 감식과 과학 분석을 병행하게 된다.
조사단은 화재로 인한 유해물질 유출 가능성 등 2차 피해까지 포함한 종합 분석을 통해, 향후 제도 개선과 기술적 보완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 활용도 높은 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다.
박근오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중앙합동조사단 결과는 정부와 지자체, 민간에 폭넓게 공유할 것”이라며 “유사 화재 재발 방지와 안전 정책 마련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권용훈 기자 f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