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증권사 유지웅 연구원은 "GM으로의 재고소진에 따른 올 2분기 실적에 대한 눈높이 조정이 진행 중이지만 현재 주가 수준에서는 강한 하방 경직성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며 "GM의 LMR 배터리 수주는 각형 폼팩터로 포트폴리오 확대, 니켈코발트망간(NCM), 리튬인산철(LFP) 등 기존 소재를 대체, 타고객사로의 확산시 선도지위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앞서 GM은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개발한 LMR 배터리를 2028년부터 상용화한다고 밝혔다. LMR 배터리는 고가의 니켈과 코발트 함량을 낮추고, 저가의 망간 함량을 높여 생산 원가를 낮춘 것이 특징이다.
망간 비율이 60~65%로 기존 NCM 배터리(10~30% 안팎) 대비 최대 6배 수준이다. GM 측은 LMR 배터리가 LFP 배터리와 비교할 때 같은 비용으로 33%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LMR 배터리는 수명이 짧은 단점 때문에 지금껏 상용화로 이어지지 못한 기술이다. GM은 LMR 배터리 관련 특허 200여개를 지닌 LG에너지솔루션과 협업해 이런 한계를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2027년 말까지 시범 생산을 시작해 이듬해 양사 합작 법인인 얼티엄셀즈의 미국 공장에서 양산에 들어간다.
유 연구원은 "공화당의 미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지 법안 발의 등 투자심리 훼손에도 불구하고 올해를 기점으로 미 정부의 관세 정책은 이미 미국 전기차 수요 급팽창 배경을 형성하고 있다"며 "올 2분기 이후 불확실성 해소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