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경기도 아파트값, 5년간 40% '껑충'…서울도 제쳤다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하남시, 고양시 덕양구 등 상승률 40% 넘어

최근 5년 동안 경기도 아파트값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빠르게 오르면서 경기도 내에서도 11배에 달하는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20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월별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경기도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2020년 1월부터 지난 3월까지 39.8%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27.3%)을 훌쩍 넘어서는 상승률이다.

이어 △충북(37.2%) △세종(37.0%) △서울(31.2%) △강원(30.5%)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반면 △대구(1.3%)와 △제주(1.9%)는 5년간 거의 가격 변동이 없는 정체된 모습을 나타냈다.

지역별 상승률 격차가 커지면서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시장 양극화도 심화하는 추세다. 이 기간 수도권 전체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33.5%로 지방권 상승률인 17.1%와 비교해 두 배에 가까운 차이를 보인다.

경기도 내에서도 지역별 편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하남시로, 44.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양시 덕양구(42.9%)와 남양주시(41.7%)도 40%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2025년 3월 기준 경기도에서 가장 비싼 지역은 평균 매매가가 17억5991만원으로 집계된 과천시다. 경기도에서 가장 저렴한 포천시(1억5816만원)의 11배가 넘는 수준이다. 이어 성남시 분당구가 13억4794만원, 하남시가 9억4137만원 순이었다.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비싼 지역은 25억2780만원을 기록한 서울 강남구다. 서초구(23억7440만원)와 송파구(18억9972만원) 등 강남 3구는 전국 최고 수준의 가격대를 형성했다. 다만 서울 내에서도 강남 지역(13억8224만원)과 강북 지역(9억1306만원) 간의 가격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시에서는 울산(22.7%)과 부산(21.6%)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지만, 대구(1.3%)는 5년간 거의 상승하지 못했다. 지방 대도시 내에서도 핵심 상권과 외곽 지역 간 격차가 뚜렷했다. 부산의 경우 해운대구(5억6336만원)와 수영구(5억8714만원) 등 신흥 부촌 지역은 전국 평균 이상의 가격을 형성했지만, 영도구(1억9258만원)나 중구(1억6323만원) 등 원도심은 저평가된 상태로 남아있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 팀장은 "GTX 노선 개발, 3기 신도시 추진, 서울 접근성 개선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려 경기도 아파트값이 꾸준히 상승했다"며 "경기도는 여전히 서울에 비해 가격 메리트가 있고, 특히 GTX 예정지 인근 분양 단지는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에게도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지"라고 분석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5.21(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