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다란 눈망울의 ‘멜로’가 V자를 그리며 눈을 찡긋 감는다. 야자수 ‘룰루’는 유영하듯 헤엄친다.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LA) 출신 사이키델릭 팝 아티스트 스티븐 해링턴(46)이 올해 프리즈 뉴욕 2025에서 LG전자와 협업해 선보인 미디어아트 작품의 일부다. 이 작품 일부는 이탈리아 하이엔드 가구 브랜드 카르텔의 뉴욕 플래그십 매장 안에도 전시됐다. ‘환각을 일으킨다’는 뜻의 ‘사이키델릭’이란 단어처럼 그를 규정하는 밝고 화사한 색채와 캐릭터는 전 세계에 팬을 두고 있다. 유니클로, 나이키, 크록스, 이케아 등 글로벌 브랜드는 물론 켄드릭 라마 등 여러 아티스트와도 협업했다. 그의 캐릭터는 비좁은 골목길에 위트와 리듬을 주기도 하고, 때로 기후 위기에 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도 한다. 회화, 조각, 드로잉 등 매체를 넘나들던 그가 미디어아트를 시도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2028년 LA올림픽 로고와 캐릭터 제작을 맡아 바쁜 나날을 보내는 그를 프리즈 뉴욕 현장에서 만났다.

“새로운 매체로 작업할 때 항상 새로운 장애물에 직면하지만 이번 프로젝트 결과는 매우 보람 있었다. LG전자 팀과 협업하며 전통적인 그림이 기술과 결합할 때 어떻게 특별해지는지 깨달았다. 그동안 만들어온 캐릭터들이 살아 움직이는 느낌이 놀라웠다.”
▷가장 도전적인 과제는 무엇이었나.
“팝 아티스트로 알려져 있지만 나의 작업은 항상 종이와 연필로 시작한다. 종이에 그림을 그리는 유기적이고 직관적인 과정을 즐기는데, 최종적으로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더 흥미를 느낀다. 이번 작업에서 가장 큰 과제는 LG전자의 투명 올레드TV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였다. 2차원(2D) 공간에서 작업하는 데 익숙한 나에게 ‘조형적인 부분’을 먼저 생각하도록 했다. 빛, 색상, 형태 등 3차원(3D)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2D 공간 안에서 작업해야 하는 과정이 무척 흥미로운 지점이었다.
▷룰루와 멜로 등 당신의 캐릭터에 생명이 생긴 것 같다.
“지난해 서도호 작가의 작품, 존 아캄프라의 미디어 작업을 보며 놀라운 점이 많았다. 새로운 기술을 탐구하고 실험할 수 있는 최초의 미국 아티스트가 된 것은 영광이다.”
▷다른 장르, 아티스트와의 협업에 적극적인 데다 공공미술 영역에서도 독보적이다. 아티스트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계속 전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원하든 원치 않든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에서 예술을 만들어내는 것이 예술가의 역할 아닐까. 이 시대의 예술은 우리를 하나의 사회로 묶어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예술은 인간으로서 우리를 연결해주는 마지막 남은 것 중 하나고, 가능한 한 열정적이고 직관적으로 예술을 계속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
▷LA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당신이 나고 자란 도시는 어떤 영감을 주나.
“LA에서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에 LA가 가진 색을 사랑한다. 모든 것이 햇빛에 의해 표백돼 있는데, LA 사람들은 그 색채에 두려움이 없다. 빛바랜 건물과 자동차에서 볼 수 있는 ‘거의 형광빛 파스텔’에 가까운 중간 어딘가의 색상을 좋아한다. 예를 들어 연한 바다 녹색, 연어 주황색, 탄 라일락 보라색…. LA는 기본적으로 해변의 사막이고, 1년 내내 따듯한 기후이기 때문에 나의 작품에 이 색이 스며들어 있다. 아무리 노력해도 지울 수 없는 정체성 같은 것이다.”
▷당신의 수많은 캐릭터는 어떻게 탄생했나.
“룰루, 멜로 등 캐릭터는 수년에 걸쳐 개발했다. 원래 그래픽 일러스트레이터로 살았는데, 돌이켜보니 내가 매우 특정한 백인 남성과 여성 캐릭터를 그리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뻔하디뻔한 히피 캐릭터를 그리는 경향이 있었다. 종교, 인종, 민족, 심지어 성별에 구애받지 않고 더 많은 사람에게 이야기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고 싶었고, 그렇게 주인공 멜로가 탄생했다. 멜로의 움직임은 통통 튀는 유형인데, 내가 기분 좋을 때 움직이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나 다름없다.”
뉴욕=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