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조주완 LG전자 CEO "글로벌 사우스가 성장 주도…LG는 핵심 파트너"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사장)는 15일 "한때 신흥국으로 여겨졌던 글로벌 사우스가 혁신과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는 LG전자에 협업을 위한 도전과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CEO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글로벌 사우스에 대해 "소비, 생산, 혁신 분야에서 떠오르는 강자"라며 "핵심 성장 파트너"라고 평가했다. 글로벌 사우스는 북반구 저위도와 남반구에 위치한 인도, 베트남 등 아시아·중남미·중동·아프리카의 신흥 개발국을 의미한다. 조 CEO는 "LG전자는 지속 가능한 기술과 현지화된 솔루션을 통해 (그들과) 장기적인 협력에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LG전자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미·유럽보다 성장성이 큰 신흥 시장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글로벌 사우스의 성장 동력은 높은 경제 성장률, 풍부한 노동인구를 비롯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 디지털 가속화 및 기술 혁신 등이 꼽힌다. LG전자는 이 지역에서 사업을 확대하면 미래 성장 동력을 낙점한 냉난방공조, 스마트팩토리 등의 B2B 사업 기회도 늘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조 CEO는 이를 위해 올해 인도와 인도네시아, 베트남 소재 법인을 잇달아 방문, 중장기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냉난방공조(HVAC), 상업용 디스플레이, 고효율 시스템 등의 기업간거래(B2B) 사업을 직접 챙기고 있다.

조 CEO는 "글로벌 사우스 지역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프리미엄 고효율 제품의 수요와 늘고, 인도의 친환경 빌딩 프로젝트로 효율적인 냉난방공조(HVAC) 시스템 및 에너지 관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LG전자는 가정과 상업 공간을 위한 지속가능한 솔루션으로 이런 요구를 충족시킨다"고 말했다.

LG전자는 현지 통신 및 핀테크 기업과 협력해 구독 기반 서비스 모델을 확대하고, AI홈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등 연결과 자동화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솔루션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현지화 작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조 CEO는 "글로벌 사우스에서 제품 개발부터 서비스까지 '엔드 투 엔드' 현지 운영을 통해 더 빠른 시장 대응, 더 높은 고객 만족도, 더 강력한 지역 전략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가 인도 스리시티에서 3번째 공장 설립에 나선 것도 현지화 일환이다. 스리시티 공장은 인도 전역은 물론, 중동과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등 인근 국가에도 가전제품을 원활히 공급하는 생산 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5.17(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