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IPO 문 두드리는 기업 '뚝'...대선 앞두고 ‘숨 고르기’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올해 신규 상장예심 신청 기업 30곳, 코로나 펜데믹보다 적어
공모주 시장 침체에 정치 변수까지 겹쳐 관망세
중복상장 규제도 한몫...정책 변수에 둔화된 상장 시계

올해 증시 입성에 도전하는 기업 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 공모주 시장 전반의 침체에 더해 조기 대선이라는 정치 일정까지 겹치면서 다수 기업이 상장 추진 시점을 두고 관망세를 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 13일까지 상장 예비 심사를 신청한 기업 수(신규 스팩 상장 제외)는 30곳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와 2023년 같은 기간에는 각 51곳이, 2022년에는 46곳이 예심을 신청했다. 코로나19 펜데믹 기간이었던 2020년과 2021년에도 각 33곳, 40곳이 상장에 도전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이례적으로 적다는 평가다.

올해 유가증권시장에 예심을 신청한 기업은 대한조선과 명인제약 두 곳뿐이다. 통상 연간 결산을 마친 뒤 상반기에 많은 기업이 연내 상장을 목표로 상장 예심을 신청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IPO 작업이 둔화한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공모주 투자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조기 대선이라는 정치적 변수까지 겹치며 기업들이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나서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새 정부가 들어선 뒤 상장 제도나 기업 규제 기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 IPO 시점을 조율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증권사 IPO 관계자는 “현 정부의 상장 관련 규제 방향이 아직 가시화된 게 없는 만큼 대선까지 치러져야 새 틀이 정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며 “괜히 먼저 나섰다가 대선 국면에서부터 첫 타깃이 되는 것을 피하려는 분위기가 있다”고 말했다.

일부 대기업 계열사들은 중복 상장이나 지배구조 이슈가 향후 규제 대상으로 지목될 가능성을 우려해 상장 시기를 늦추는 분위기다. 중복 상장 논란은 상법·자본시장법 개정안 등과 맞물릴 수 있는 만큼 그룹 전반의 이미지와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반면 새 정부 출범 이후 IPO 제도 완화나 특례 확대를 기대하는 기업도 있다. 특히 바이오 기업이나 벤처캐피털(VC) 투자를 받은 기업은 대선 이후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변화에 따라 기술특례 상장이나 모험자본 관련 규제가 완화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벤처투자사 관계자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준비하는 대기업보다는 기술성 평가나 특례 제도가 적용되는 코스닥 상장 후보들이 정권 교체 이후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이라며 “새 정부의 규제 방향이 드러나는 하반기 이후에나 IPO 시장이 본격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최석철 기자 dolsoi@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5.14(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