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당의 관계 설정 문제가 정치권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출당 조치 여부가 향후 선거 전략의 중대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내부에서 미뤄졌던 윤 전 대통령 출당 관련 논쟁이 다시 불붙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김문수 후보가 최종 선출되고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이 내정되면서, 이들이 정치적 시험대에 오르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윤 전 대통령 출당 조치에 대한 두 사람의 입장이 미묘하게 갈렸다는 점이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 조치가 없을 것이라고 명확하게 선을 그었지만, 김 비대위원장 내정자는 "국민 상식에 맞는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가능성은 열어둔 상태다.
김 후보는 이날 대구 경북 선거대책위원회 출정식 및 임명장 수여식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대통령 출당 조치는 없을 것"이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탈당하느냐 안 하느냐는 본인의 뜻"이라고 말했다.

반면 김 내정자는 이날 SBS 라디오 '정치쇼'에 출연해 윤 전 대통령 거취와 관련 "대통령께서 본인 재판에 집중하실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저희 당은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며 "그 지점에서 여러 가지를 논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대통령께서 여러 가지 형사재판이 예정돼 있다. 정치 메시지를 내기보다 본인 재판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당이 여건을 만들어드려야 한다"며 "목요일 비대위원장에 정식 임명되면 말씀드리겠다"며 당 차원의 조치가 있을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이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내에서 후보, 선대위원장들과 조율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며 "당내 컨센서스를 도출해 국민 상식에 맞는 판단을 하도록 하겠다"고 부연했다. 이어 "여러 가지를 고민하고 있고, 금명간 조치를 말씀드리도록 하겠다"고 출당 가능성 자체를 부인하지는 않았다.
두 사람은 전날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조치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사과하는 모습을 보였었다. 김 후보는 "계엄으로 인한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들께 진심으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계엄으로 인해) 경제, 국내 정치도 어렵지만, 수출, 외교 관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며 처음으로 사과한 바 있다.
김 내정자 역시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국민의힘이 배출한 대통령의 계엄이 잘못되었다는 것, 그리고 당 스스로 대통령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마땅한 책임을 지우지 못했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계엄이 일어나기 전에 대통령과 진정한 협치의 정치를 이루지 못했다는 것을 과오로써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당내에서는 친한계를 중심으로 윤 전 대통령 출당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한동훈 전 대표와 친한계의 이런 움직임에 '차기 당권을 위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얹어지면서, 크게 힘을 받지는 못하는 모습이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용태 의원은 청년 정치 상징이기도 하고 최근 여러 문제에 대해서 조금 다른 시각을 가진 정치인이기도 하다"며 "조금씩 다른 생각이 있을 수 있는데 그 부분은 앞으로 후보와 긴밀하게 대화하면서 국민 여러분이 공감할 수 있는 메시지를 낼 수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