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혁기 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정무기획실장은 정무 전략의 귀재로 꼽힌다. 21대 대선 선대위에서 메시지팀 선임팀장으로 ‘이재명의 입’ 역할을 하고 있다.
권 전 실장은 국민대 국사학과 88학번이다. 국민대 총학생회장으로 1992년 대선을 경험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낙선하면서 느꼈던 좌절감이 향후 그를 정치권으로 이끌었다. 권 전 실장은 졸업 후 한 일반 회사에서 3년가량 근무하다가 1997년 대선에선 김 전 대통령을 공식적으로 돕는 민주연합청년동지회의 청년조직국장을 맡았다.
권 전 실장이 정무전략에 밝은 건 학생운동 경험을 바탕으로 수십년 간 정치권에서 거물급 정치인들 곁에서 호흡해왔기 때문이다. 참여정부 때 청와대 국내언론비서관실 행정관을 지냈고, 부산시장을 지낸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의 정책보좌관으로 일했다. 문재인 정부 때 춘추관장을 지냈고 ‘이재명 체제’에 들어서는 정무기획실장을 지내는 등 요직을 거쳤다.
실력을 중시하는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인선 기조에 따라 그는 이 후보 체제에서도 주류가 됐다. 정치권에선 일처리가 빠르고 메시지가 명료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언론의 날카롭고 곤란한 질문을 맞받아치는 수싸움에도 능하다. 특히 네거티브 공세에 대응하는 능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춘추관장 시절에는 정부와 국민들 간 가교 역할을 했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 보도 분야 실무 협상을 주요 성과로 꼽는다. 당시 전 세계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이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악수하는 장면을 생방송으로 지켜봤는데, 권 전 실장의 역할이 컸다. 권 전 실장은 한 인터뷰에서 “북한은 생방송이라는 게 없는 나라라서 라이브로 내보내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강했는데 제가 설득을 했다”고 전했다.
당으로 돌아온 권 전 실장은 김태년 원내대표 비서실장과 박홍근 원내대표 정무실장을 역임했다. 이후 이 후보의 정무기획실장으로 발탁됐다. 언론에 비쳐질 당과 이 후보의 이미지를 고민하고 길잡이 역할을 한다. 이 후보가 민주당의 대선 후보로 최종 확정된 날의 수락연설은 ‘신춘문예 3관왕’ 강유정 선대위 대변인과 권 전 실장의 합작품이었다. 대선 캠프에선 이 후보의 각종 연설문 등 메시지를 총괄하는 후보실 메시지팀 선임팀장으로 활약하고 있다.
정치권에서 산전수전 다 겪어본 정 전 실장.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분루를 삼켰다. 20대 총선(2016년)에선 당직자 몫으로 비례대표 22번에 이름을 올렸지만 당선권에 들지 못했다. 21대 총선(2020년)에 서울 용산구 후보로 출마하기 경선을 준비했다. 당에서 용산구를 전략공천 지역구로 정하고 강태웅 전 서울시 부시장을 후보로 공천하면서 본선 진출은 실패했다. 가장 최근인 22대 총선(2024년)에는 경기 의정부을 예비후보로 활동했다. 경선에서 경기도 평화부지사를 지낸 이재강 의원에 밀려 낙선했다.
▶권혁기 전 더불어민주당 정무기획실장
△1968년 서울 △청량고-국민대 국사학 △국민대 총학생회장 △청와대 춘추관장(문재인 정부) △민주당 정무조정실장 △21대 대선 민주당 선대위 메시지팀 선임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