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이국종, 또 작심 발언…"젊은 의사들 군의관 안 한다고"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최근 군의관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평생 괴롭힘당하며 살기 싫으면 바이탈과 하지 마라"는 조언으로 화제가 됐던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이 이번엔 군 의료체계에 대한 조언에 나섰다.

이 병원장은 지난 21일 공개된 한국국방연구원 유튜브 채널 영상에서 "의사가 됐으면 당연히 군인 장교로 가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제 젊은 의사들이 장교의 길을 가지 않고 이탈해서 일반병으로 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부대만 해도 의사들이 이병으로 들어온다. 그러면 의사 업무를 시키는 게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까다로운 법규나 규정들 때문에 병사들에게 많은 책임을 지울 수 없다. 이들 또한 빨리 복무를 마치고 나갈 테니 단순 업무를 달라고 한다"고 현장의 어려움에 관해 설명했다.

이어 "지금은 일반병의 휴식에 대한 보장 등이 오히려 장교들보다 좋다. 굉장히 많이 강화됐다"며 "이에 군의관으로 오려는 사람들 자체가 굉장히 없다"고 지적했다.

이 병원장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비역 제도'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미국에서) 나를 가르친 교수님은 네 번이나 파병됐다. 항공모함뿐 아니라 전방작전 기지까지 헬기 타고 이동해서 다친 군인들을 살려냈다"며 "전역해도 국가의 부름이 있다면 콜업돼 현장에 배치된다. 이런 예비역 제도가 잘 마련되지 않으면 아주 큰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군 의료'라고 하면 다른 것 같지만, 일반인이나 군인 치료하는 프로토콜이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며 "결국 민간 의료의 고도화된 부분을 군 의료와 공유하면서 점점 경계를 없애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어디로든 달려가는 군의 특별 그룹을 제외하고는 국가 전체 의료 자원의 틀로 봐야지 군 의료만 따로 발전시키기는 어렵다. 의료라는 자산을 냉정하게 큰 틀에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병원장은 '청년 국군 장병을 위해 해줄 말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젊은 세대들에게 감히 무슨 얘기를 드린다기보다는, 제가 많이 배운다"며 "젊은 친구들이 몇 달만 있어도 확 성장하는 것을 보면 기분이 좋다. 그래서 저는 군에서 행복하게 잘 지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 병원장은 충북 괴산의 한 훈련소에서 군의관 후보생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한평생을 외상 외과에서 죽도록 일했는데 바뀌는 건 하나도 없더라. 내 인생 망했다. 나랑 같이 외상 외과 일하던 윤한덕 교수는 과로로 죽었다. 너희는 저렇게 되지 마라", "너희도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 조선에는 가망이 없다. 탈조선 해라"는 등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병원장은 해당 발언이 논란이 되자 지난 21일 국방부 담당자에게 "군의관들을 격려하는 차원에서 한 말이지만 결과적으로 죄송하다"는 취지로 사과했다. 국방부는 이번 일을 문제 삼지 않기로 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4.25(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