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이소 연간 매출은 2022년 2조9457억원에서 2023년 3조4604억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 4조원에 육박하는 등 매년 급증했다. 올해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1~3월 카드 결제 추정액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늘었다. 3월에는 8.1% 증가한 1858억원에 달했다.
다이소가 급성장한 주요 배경으로는 상품군 확장이 꼽힌다. 고마진 제품인 뷰티·패션 상품군을 대폭 늘렸다. 지난해 말 기준 다이소에서 판매한 뷰티 브랜드와 상품은 60개, 500여 종이다. 2023년 말(26개 브랜드, 250여 종)에 비해 두세 배로 늘어난 규모다. 다이소 뷰티 제품이 불티나게 팔리자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뷰티 대기업도 다이소 전용 상품을 개발해 입점했다. ‘샤넬밤’(손앤박 멀티컬러밤), ‘리들샷’(VT 리들샷 앰풀) 등이 연달아 히트하며 지난해 다이소 화장품 매출은 1년 전보다 144% 급증했다.
의류 매출도 두 자릿수 증가했다. 지난해 의류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34% 늘었다. 맨투맨, 후드티, 패딩 조끼 등을 포함한 다이소 이지웨어 상품군의 겨울(2024년 10월~2025년 1월) 매출은 86% 급증했다. 고물가와 소비 침체 속에서 가성비 의류를 찾는 수요를 공략한 전략이 통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이소 관계자는 “배송 방식을 다각화하고 픽업 서비스를 도입해 오프라인 고객 경험을 온라인까지 확대했다”며 “올해 퀵커머스 서비스인 ‘오늘배송’, 주 7일 배송인 ‘휴일 배송’을 도입해 온라인몰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외국인 관광객을 적극 공략한 전략도 주효했다. 올리브영, 다이소, 무신사를 일컫는 ‘올다무’가 K관광코스로 떠오르며 다이소 매장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했다. 지난해 다이소의 외국인 카드 결제 건수와 금액은 각각 42%, 50% 늘었다.
다이소 관계자는 “틱톡과 인스타그램에는 ‘다이소 쇼핑리스트’ ‘한국 여행에서 꼭 사야 할 아이템’ 등 외국인 관광객이 영어로 올린 콘텐츠가 수백 개 있다”며 “서울 명동과 홍대 점포의 외국인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라현진 기자 raral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