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위스키 제조사들이 비틀거리고 있다. 경기가 사나워지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는 데다 독한 술을 찾는 소비자마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실적 부진을 이겨내지 못한 일부 회사에서는 매각설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스카치 위스키를 주로 취급하는 윈저글로벌도 실적 악화를 피하지 못했다. 2023회계연도(2023년 7월~2024년 6월) 매출은 1032억원으로 전년 동기(1102억원)보다 6.3% 줄었다. 영업이익도 340억원으로 2%가량 감소했다. 페르노리카코리아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매출이 1751억원으로 전년(1852억원)보다 5% 줄었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2~3년 전 코로나19 마무리 국면에 ‘보복 소비’ 열풍을 타고 위스키 시장이 급성장했지만 지금은 옛날이야기”라며 “경기가 나빠지면서 사치품으로 여겨지는 위스키의 판매량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아이앤서베이가 최근 발표한 음주문화 보고서에 따르면 2030세대가 가장 많이 마시는 술은 맥주(70.4%)였고, 소주(49.2%)와 하이볼(22.6%)이 뒤를 이었다. 위스키는 22.2%로 4위까지 밀렸다. 2030세대 응답자 중 무알코올 주류를 경험한 비율도 73.9%에 달했다. 술은 ‘취하려고 마시는 것’이라는 인식이 사라졌다는 얘기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위스키는 코로나19 이후 인기가 급등하다가 2023년 정점을 찍고 소비가 줄고 있는 모양새”라며 “하이볼 유행마저 사그라들면서 위스키 시장이 반등하기는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위스키만의 이야기도 아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위스키 수입량은 2만7440t으로, 전년(3만586t) 대비 10% 줄었다. 위스키 수입량이 2022년 73.2%, 2023년 13.1% 증가한 것과 상반된 흐름이다.
위스키가 주로 유통되는 편의점에서도 위스키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 GS25의 작년 위스키 매출 증가율은 36.5%로, 2022년(65.6%)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세븐일레븐의 위스키 매출도 지난해 15% 늘어 직전 연도 매출 증가율(80%)을 밑돌았다. CU의 지난해 위스키 매출 증가율도 30.1%로 2022년(48.5%)보다 낮아졌다. 지난해 CU의 하이볼 매출 증가율이 315.2%에 달한 것과 대조적이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최근 관세 이슈로 환율도 고공행진하고 있어 수입 주류인 위스키 가격이 상승할 여지가 크다”며 “위스키업계가 프리미엄과 가성비 제품군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라현진 기자 raral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