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지면기사

쿠팡·C커머스 '초저가 공습'에 무너진 홈플러스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마트 2위' 어쩌다 이렇게 됐나

유통 불황에 매장 경쟁력 저하
2021년 손실 전환 후 '적자 늪'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근본적인 이유는 업황이 급격히 악화했기 때문이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매각에 나섰으나 임자가 나서지 않아 제때 투자를 하지 못한 영향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작년 3월부터 11월까지 5조5406억원의 매출을 거두고도 1500억원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20년까지만 해도 연간 1000억원 안팎 이익을 올렸지만 2021년부터 적자로 돌아서 매년 1000억~2000억원대 손실을 봤다. 이는 비단 홈플러스만의 문제는 아니다. 이마트는 대형마트 사업에서만 지난해 약 2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같은 해 롯데마트(롯데슈퍼 포함)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6.2% 감소한 465억원에 불과했다.

대형마트가 성장은커녕 이익을 내기도 쉽지 않은 상황에 이른 것은 소비 트렌드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형마트의 주력 상품인 생활용품부터 신선식품까지 온라인 쇼핑에 주도권을 빼앗겨 팔아도 남는 게 거의 없거나 오히려 손해를 보는 상황에 부딪혔다.

특히 쿠팡의 부상은 대형마트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쿠팡의 작년 매출은 41조원으로 국내 대형마트의 전체 판매액 약 37조원을 넘어설 만큼 불어났다. 쿠팡에 더해 최근엔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 e커머스마저 대형마트 영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산 저가 상품을 판매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한국산 생활용품, 가공식품, 신선식품까지 팔거나 판매를 계획 중이기 때문이다.

홈플러스의 자체 경쟁력도 하락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마트와 롯데는 모기업의 지원 속에 매장을 대대적으로 혁신하고 대형마트, 슈퍼 등 업태를 통합하는 시도까지 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상황이 다르다. 대주주 MBK가 슈퍼마켓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를 매물로 내놨고, 홈플러스 매장은 꾸준히 매각하거나 폐업하고 있다. 2020년 140개에 달하던 홈플러스 매장은 작년 말 기준 126개로 쪼그라들었다. 한 유통사 관계자는 “홈플러스의 매장 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져 단기간에 실적 턴어라운드를 이뤄내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4.03(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