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권에선 이 대표가 최근 일괄공제 등 인적 공제 상한을 높이는 상속세법 개정 필요성을 거론한 데 이어 근로소득세 개편도 시사한 것은 지지율 정체를 돌파하려는 시도란 분석이 나왔다. 민주당에서는 그동안 고액연봉자 감세 혜택이라는 이유로 소득세 개편을 주저했다.
하지만 조기 대선을 앞두고 지지율 박스권을 벗어나려면 새로운 지지층을 흡수해야 한다는 인식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갤럽 차기 대선 주자 지지도 조사에서 작년 12월 3주차 37%를 기록한 이 대표 지지율은 이달 2주차 조사에서 34%를 나타내는 등 30%대 초·중반을 맴돌고 있다.
이런 이 대표와 민주당 행보에 여권 차기 주자로 분류되는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소셜미디어에 “한마디로 (추경을 통한 전 국민 25만원 지원금)의 ‘돈 퍼주기’와 소득세 개편의 ‘세금 깎아주기’를 동시에 하겠다는 것”이라며 “이런 포퓰리즘이 결국 더 큰 고통으로 돌아온다”고 꼬집었다.
당내에서는 원외 인사를 중심으로 이 대표 발언에 문제를 제기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민주당의 정체성을 (이 대표가) 혼자 규정하는 것은 월권”이라며 “이 대표가 이 엄중한 시기에 왜 진보-보수 논쟁을 끌어들이는지 이해하기 어렵고, 비민주적이고 몰역사적”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강령에 ‘서민과 중산층을 대변한다’고 적혀 있지만, ‘보수’를 추구하겠다고 한 건 유례가 없기 때문이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민주당의 정체성을 하루아침에 바꿀 수는 없다”며 “탄핵 이후 민주당이 만들어 나갈 대한민국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선 당내외의 폭넓은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