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중국 시장에서 고급 주행 성능과 정밀한 엔지니어링을 무기로 높은 판매고를 올려왔던 독일 자동차 업체들이 최근엔 중국 기업의 인기에 판매량 감소에 직면했다.
특히 포르쉐는 판매량이 28% 감소했다. 중국 이외 시장에선 판매량이 늘었지만, 중국 판매량 감소에 따라 글로벌 판매량도 3% 하락한 것으로 회사 측은 분석했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인 단일 시장이다.
판매량 감소 배경에는 중국 제조업체들의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AI) 기술 탑재 전기차 제조 기술에 대한 업체들의 과소평가가 한몫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포르쉐 전기 스포츠카인 타이칸은 샤오미가 출시한 SU7에 경쟁력 면에서 뒤처져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SU7은 타이칸을 모방했다는 지적을 받을 정도로 비슷한 외양을 가졌다. 출력과 제동력 또한 타이칸과 비슷하지만, 중국 현지에서 판매 가격은 타이칸의 절반 수준이라고 NYT는 보도했다. SU7은 주차 어시스트 기능, 통합 AI 기술 등을 포함해 차별성을 확보했다.
NYT는 시장 전문가들을 인용해 "중국 전기 자동차 기술 발전은, 브랜드 가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데 익숙한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는 포르쉐가 유럽연합(EU) 등 미국의 교역 파트너를 상대로 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역시 실적 악화 압박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한다고 짚었다. 포르쉐는 특히 메르세데스벤츠나 BMW 등과는 달리 독일에서 제조한 차량만 미국에 공급하고 있어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