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정품인데 아울렛보다 싸다고?"…2030 몰려들더니 초대박 [트렌드+]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주요 백화점 오프프라이스 스토어 매출 증가
가성비에 2030 수요도 몰려


지난 16일 오후 6시께 서울 영등포구 신세계백화점의 오프프라이스(off-price) 스토어. 매장 안에는 엄마와 딸부터 연인, 친구까지 다양한 손님들이 분주히 쇼핑을 즐기고 있다. 모두 매장 곳곳에 붙은 ‘30~80% off’ 광고판을 보고 찾아온 이들이다. 이 매장 상품들은 국내외 유명 브랜드의 이월 상품으로, 30~80% 할인 판매 중이다.

매장에서 계산을 마치고 나온 20대 여성 최모 씨는 “폴로 니트 두 장을 31만원에 득템했다”며 “겨울이 다 가긴 했지만 싸게 사서 기분 좋다”고 말했다. 그가 산 폴로 랄프로렌 제품의 정가는 한 벌에 20만원도 넘는다. 최 씨는 “인터넷에 더 싼 것도 있긴 하지만 정품이 맞는지 확인이 어렵다”며 “정품이라고 해도 해외직구 배송료가 붙으면 더 비싸진다”고 설명했다.

장기 불황으로 소비침체가 이어지면서 국내 주요 백화점의 매출이 줄어든 가운데 재고 상품을 아웃렛(아울렛)보다 더 싼 가격에 판매하는 오프프라이스 스토어로 사람들의 발길이 몰리고 있다. 철 지난 이월 상품이라도 합리적인 가격에 브랜드 제품을 구매할 수 있어 소비자들 관심이 뜨겁다. 특히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중시하는 2030세대를 중심으로 인기가 높아지면서 백화점들도 이들이 선호하는 브랜드의 제품을 늘리는 추세다.
주요 백화점 오프프라이스 스토어 매출 증가

1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백화점의 오프프라이스 스토어인 팩토리스토어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상승했다. 현대백화점의 오프프라이스 스토어인 오프웍스도 지난해 30%의 매출 신장률을 달성했다. 이랜드리테일의 팩토리아울렛도 지난해 영업이익이 3배가량 늘었다. 2024년 백화점의 소매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3%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고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높아지면서 더 저렴한 쇼핑 장소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겨울 옷을 사기 위해 매장에 들른 30대 여성 직장인 신모 씨는 “세 달에 한 번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오는 편”이라며 “일반 매장에서 사면 가격이 비싸서 많이 망설여지는데 여기서는 비교적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어서 좋다”고 밝혔다.
중간 유통 과정 없애 높은 할인율 제공…2030 수요 몰려
통상 오프프라이스 매장에선 정가 대비 20~80%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아울렛보다 더 싼 아울렛인 셈이다. 오프프라이스 매장의 상품이 기존 아웃렛보다 싼 이유는 백화점에서 상품을 직매입·직운영하기 때문이다. 중간에 불필요한 유통 과정을 생략해 높은 할인율을 제공하는 구조다. 이로 인해 오프프라이스 스토어가 다이소와 알리 등 초저가 쇼핑에 익숙한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보물찾기’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대학 입학을 앞두고 쇼핑하러 온 20살 여성 박모 씨는 “좋아하는 브랜드가 많아서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며 “둘러보다가 값 싼 제품을 찾았을 때 짜릿하고 기쁘다”고 말했다.

실제 이랜드 팩토리아울렛 광명점의 경우 2030 신규 회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470% 급증했다. 매장 방문객도 20대 비율이 70% 증가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유통업계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 아미, 메종키츠네, 스톤아일랜드, 폴로 랄프로렌 등 2030세대를 겨냥한 브랜드 제품을 확대할 예정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젊은 세대에게 인기 있는 브랜드의 경우 사고 싶어도 비싼 가격 때문에 구매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며 “앞으로 MZ세대(밀레니얼+Z세대) 고객들이 선호하는 해외 컨템포러리(준명품) 브랜드를 많이 들여와 구매로 이어지게 할 계획”이라고 귀띔했다.

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2.21(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