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산업연구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대형마트 영업 규제의 변화와 경제적 효과'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2022∼2023년 신용카드 데이터를 활용해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의 평일 전환 효과를 조사했다.
연구원은 이 기간 의무 휴업일이 주말에서 평일로 바뀐 대구시와 청주시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대형마트 주말 영업은 주변 상권에 평균 3.1% 수준의 매출 상승효과를 가져왔다.
업종별 효과를 보면 요식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출 증가가 나타났다. 대형마트 주말 영업으로 요식업의 매출은 약 3.1% 늘어난 것.
연구원은 "주말 대형마트 영업으로 인해 유동 인구가 증가하면서 요식업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며 "반면 유통업과 쇼핑 관련 사업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역별로 대구에서는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지만, 청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제적 효과가 없었다.
대구와 같은 특별·광역시 지역에서는 유동 인구가 증가하면서 일부 업종에서 매출이 늘어날 수 있지만, 청주처럼 주변 상권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제적 효과가 미미하거나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원은 전했다.
산업연구원은 "우려와는 달리 대형마트의 의무 휴업일을 주말에서 평일로 전환했을 때 주변 상권의 매출 감소 효과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규모 유통점들이 다양한 외식·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을 입점시켜 고객을 끌어모으고 있기 때문에 전통 상권과 대형마트가 복합 상권을 형성한다면 대형마트에 물건을 사러 온 소비자들이 주변 볼거리와 외식 등 재미를 함께 누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서울의 있는 대형마트의 경우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대부분 매월 둘째 및 넷째 주 일요일을 의무휴업일로 지정하고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
윤석열 정부가 유통산업발전법을 전면 개정해 대형마트 규제를 정비하려 했다. 하지만 계엄과 탄핵 정국이 겹치며 유야무야됐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의무 휴업일을 평일로 지정하지 못하게 하는 법안을 발의해 법률 개정을 통한 규제 완화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