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형만 한 아우 없었다…시즌1 생각하면 처참한 성적, 공정성 논란 4번 영향 있었나[TEN초점]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현역가왕2'가 결국 형만 한 아우 되기에 실패했다. 한때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의 대세가 되며 우후죽순 방송사별로 관련 방송이 생겨나기도 했다. 그러나 아무리 시청자들이 선호하는 장르라고 해도 꾸준한 변화와 발전을 꾀하지 않으면 냉정한 외면을 피할 수 없다.

'현역가왕2'는 시즌1 여자 편에 이어 남자 편으로 이루어졌다. 첫 방송 이전부터 공정성 논란에 휩싸이며 본의 아니게 화제성은 최고인 프로그램이다. 문제는 시청률이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현재 '현역가왕2'는 10회까지 방송됐다. 최근 9회의 시청률은 10.0%, 10회 시청률은 12.8%를 기록했다. 9회에서 10회로 넘어가며 시청률이 껑충 뛰었지만 시즌1에 비하면 한참 못 미친다.

'현역가왕1'의 경우 9회 15.2%, 10회 14.9%를 달성하며 시즌2에 비해 압도적인 성적을 냈다. 비교적 팬덤 크기가 작은 여자 가수들임에도 최고치의 결과물을 낸 셈이다.

화제성은 잡았지만 시청률은 놓친 '현역가왕2'다. 실제로 '현역가왕2'는 4개월의 방송 기간 동안 무려 공정성 논란에 4번이나 휩싸인 바 있다. 오디션 프로그램은 통상 공정성 논란이 생기면 시청률에 영향을 받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선 심사 없이 신유와 박서진의 중간 투입, 신유의 피처링 가수 무대와 스포일러 논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참가자 환희의 소속사 대표 진동기가 이사로 재직 중인 기업 디온커뮤니케이션이 현역가왕2 콘서트에 11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확인됐다. 디온컴은 진동기 대표의 친형 진수일 대표가 운영하는 회사다.

볼거리가 줄어든 것도 아쉬운 부분이다. 시즌1과 매우 비슷한 포맷이 반복되었고, 참가자들 역시 타 방송에서 이미 공개된 에피소드를 반복적으로 풀어내면서 흥미를 유발하지는 못 했다.

결국 화제성을 제외하고선 전 시즌에 비해 아쉬운 결과를 낳게 됐다. 계속되는 공정성 논란부터 낮은 시청률까지, 성공적인 '컴피티션'은 아니었다.

류예지 텐아시아 기자 ryuperstar@tenasia.co.kr

오늘의 신문 - 2025.02.11(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