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비서·경리부터 AI가 대체…의사·판사는 어떻게 될까? [강진규의 BOK워치]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한국은행이 인공지능(AI) 도입으로 비서와 경리, 회계 등 사무직이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반면 의사와 판사 등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하는 직업은 AI가 도입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사람이 맡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중요한 결정은 사람이 할 것"
10일 한은은 국제통화기금(IMF)과 함께 작성한 워킹페이퍼 'AI와 한국경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이번 분석에서 AI에 노출이 되기 쉬운 직업을 분석하면서 사람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보완도에 주목해 조정된 AI 노출도를 도출했다. 노출도가 높더라도 보완도가 높으면 대체가 어려운 것으로 봤다.

조정 AI 노출도가 높은 직업으로는 회계 및 경리 사무원, 비서 및 사무 보조원, 법률 및 감사 사무 종사자 등이 꼽혔다. 의사 등 의료 진료 전문가는 AI가 도입되더라도 사람이 보완하는 측면이 강해 대체가 어려운 직업으로 꼽혔다.

오삼일 한은 고용연구팀장은 "외과의사나 판사의 결정은 오류가 발생했을 때 심각성이 크다"며 "사회적으로 AI가 아닌 인간이 최종 결정을 내리도록 요구될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AI가 GDP 12.6% 높인다
한은은 이번 분석에서 AI의 도입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을 2050년까지 최대 12.6% 높일 수 있다고 봤다. 생산성이 3.2% 상승하면서 GDP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AI가 노동수요를 대체하더라도 AI를 활용해 노동의 생산성을 높이는 게 가능해지는 시나리오에서다. 이 경우 사회의 전체적인 생산성이 높아지면서 노동 수요가 다시 되살아나는 효과까지 더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이같은 효과가 대기업이나 업력이 긴 기업에서 주로 나타날 것이라고 봤다. 오 팀장은 "내부 구성원이 AI를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우 영향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 "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AI 도입으로 인한 성장 개선 효과는 고령화로 인한 성장세 하강을 상당부분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에 따르면 같은 기간 AI 도입 없이 고령화만 진행될 경우 GDP는 16.5% 감소할 수 있는데, AI 도입을 통해 이같은 부정적 효과를 -5.9% 수준까지 줄일 수 있다.
한국 AI 준비도 '15위'
한국 또 AI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산업 우위를 바탕으로 수출이 더 증가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오 팀장은 "한국이 현재의 시장점유율(20%)을 유지할 경우, 중기적으로 반도체 수출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관련 산업의 고용 창출과 생산성 증대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짚었다.

한국의 AI 준비지수는 IMF가 조사한 165개국 중 15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 및 경제통합 분야에선 3위를 기록했지만, 규제 및 윤리와 디지털 인프라는 각각 18위, 인적자본 및 노동시장 정책은 24위에 그쳤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2.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