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502/ZK.39397178.1.jpg)
조정 AI 노출도가 높은 직업으로는 회계 및 경리 사무원, 비서 및 사무 보조원, 법률 및 감사 사무 종사자 등이 꼽혔다. 의사 등 의료 진료 전문가는 AI가 도입되더라도 사람이 보완하는 측면이 강해 대체가 어려운 직업으로 꼽혔다.
오삼일 한은 고용연구팀장은 "외과의사나 판사의 결정은 오류가 발생했을 때 심각성이 크다"며 "사회적으로 AI가 아닌 인간이 최종 결정을 내리도록 요구될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AI가 노동수요를 대체하더라도 AI를 활용해 노동의 생산성을 높이는 게 가능해지는 시나리오에서다. 이 경우 사회의 전체적인 생산성이 높아지면서 노동 수요가 다시 되살아나는 효과까지 더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이같은 효과가 대기업이나 업력이 긴 기업에서 주로 나타날 것이라고 봤다. 오 팀장은 "내부 구성원이 AI를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우 영향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 "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AI 도입으로 인한 성장 개선 효과는 고령화로 인한 성장세 하강을 상당부분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에 따르면 같은 기간 AI 도입 없이 고령화만 진행될 경우 GDP는 16.5% 감소할 수 있는데, AI 도입을 통해 이같은 부정적 효과를 -5.9% 수준까지 줄일 수 있다.
한국의 AI 준비지수는 IMF가 조사한 165개국 중 15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 및 경제통합 분야에선 3위를 기록했지만, 규제 및 윤리와 디지털 인프라는 각각 18위, 인적자본 및 노동시장 정책은 24위에 그쳤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