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502/ZA.39412209.1.jpg)
기획재정부 출입기자 책상마다 얼굴 사진이 담긴 조직도가 붙어 있다. 실제로 만나본 공무원들 모습은 사진과 사뭇 달랐다. 오래된 사진인 경우가 많아서다. 하지만 한 기재부 관계자는 "담당부서 업무에 시달려 금방 삭는 경우도 적잖다"며 "물가가 치솟으면 물가정책과장, 성장률이 나쁘면 경제정책국장 얼굴에 주름이 는다"고 했다.
요즘 기재부 공무원들의 고민이 불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매주 민생 정책과제를 발굴하라는 지시를 내려서다. 한 기재부 국장은 "매주 민생정책을 쥐어짜야 하는데 뭘 꺼낼지 벌써 머리가 아프다"고 토로했다.
1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기재부는 이번 주에 열리는 2차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민생 정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달 초 정부는 1분기에 최상목 권한대행이 주재하는 ‘민생경제점검회의’를 매주 열기로 했다. 매주 열리는 회의 때마다 민생·경제 분야의 개선 조치를 1개 이상씩 발표하기로 했다.
지난 6일 열린 1차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는 이달 말 종료되는 유류세 인하 조치를 4월 말까지 2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또 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해 다음 달까지 농·축·수산물 할인지원 예산 300억원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 등은 이미 기재부 안팎에서 예상을 한 조치다. 먹거리 물가 안정에 300억원을 투입한다는 것이 눈길을 끄는 정책이었다.
이번 주에 발표할 새 민생 정책을 놓고도 관심이 쏠린다. 그만큼 기재부 관계자들의 압박감도 적잖다. 매주 최 권한대행이 주재하는 회의에 올릴 새 정책을 쥐어짜 내야 한다는 부담감에서다. 이미 나온 정책을 짜깁기하는 방법도 있지만 '재탕 정책'이라며 눈총을 받을 수 있다.
정치적으로 어수선한 상황에서 공무원들의 정책 설계 의지도 크지 않다. 앞으로 대선 정국이 전개될 수 있어서다. 기재부 한 국장은 "1급 이상 고위직 공무원은 어떻게든 지금 정책을 내놓아 업적을 쌓으려는 유인이 크다"며 "그렇지 않은 1급 이하 직급 공무원들과의 이해가 상충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익환/남정민/이광식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