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지면기사

'환율 상승 효과'는 옛말…되레 적자 느는 수출기업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미국외 비중 크고 현지생산 많아
삼성·LG전자 등 兆단위 손실

스마트폰과 TV, 가전 생산·판매를 담당하는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 경영진에 요즘 ‘실시간 환율 체크’는 일상이 됐다. 지난 9월 말 달러당 1320원이던 원·달러 환율이 ‘도널드 트럼프 2.0 시대’ 개막과 비상계엄 여파로 석 달 만에 달러당 1456원으로 10.5% 뛰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국내외에서 사들이는 부품 매입액은 연 60조~70조원 수준. 회사 관계자는 “환율 상승으로 대부분 달러로 구입하는 부품값이 대폭 올랐지만 치열한 경쟁 탓에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환율이 10% 오를 때마다 DX부문 손실이 조(兆) 단위로 불어난다”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이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뛰어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주력 기업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다. ‘스마트폰의 두뇌’로 불리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 값비싼 핵심 부품을 달러로 들여오는 만큼 환율 상승으로 부품 구입비가 크게 늘어났는데 미국 외 현지 통화로 판매하는 비중이 대폭 높아져 제품 판매 때 환율 효과를 누리지 못해서다.

그동안 국내 수출기업에 환율 상승은 ‘수익성 확대’와 동의어였다. 환율이 10% 오르면 미국에서 1000달러에 스마트폰을 팔 때 손에 쥐는 원화 환산 수익이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율 상승=수익성 확대’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공식이 됐다. 전체 매출에서 유럽,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미국 외 시장 비중이 커진 데다 ‘현지 생산·현지 판매’ 방식이 확산돼서다.

삼성전자의 지난 3분기 미국 외 매출 비중은 71.3%였고, 주요 제품 생산지역도 인도 베트남 등 미국 외 지역이 대부분이다. 제품을 현지 통화로 판매하는 만큼 환율 상승 수혜가 거의 없는데 핵심 부품은 여전히 달러로 구입해 부품 구입비만 늘어나는 ‘역(逆) 환율 효과’에 노출됐다는 얘기다.

황정수/신정은 기자 hjs@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12.26(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