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지면기사

네이버·카카오 등 빅테크 CEO 총출동…'AI 국가전략기구' 출범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민·관 'AI 전략 최고위 협의회'

삼성 경계현·아모레 김승환 참여
통신사·SW 대표들도 머리 맞대
법률·의료 등 AI 적용 확대 논의

정부가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KT 등 국내 주요 정보기술(IT) 기업이 참여한 인공지능(AI) 협의체를 꾸렸다. 테크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공공 부문에서 AI의 일상화를 꾀하는 게 정부의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민·관 합동 AI 최고위원회 거버넌스인 ‘AI 전략 최고위 협의회’ 출범식을 열었다. AI가 산업을 넘어 인문, 사회 등 전 분야로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국가 전체 AI 혁신 방향을 이끌 협의체가 필요해졌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공동위원장인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염재호 태재대 총장을 비롯해 민간 전문가 23명, 주요 관계부처 실장급 공무원 7명 등 총 32명이 이름을 올렸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정신아 카카오 대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영섭 KT 대표,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사장 등 주요 IT 기업 수장은 물론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처럼 전통 산업에 속하는 기업도 명단에 포함됐다. 협의회에서 논의된 내용은 소관 부처가 공동으로 이행 방안을 마련해 실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국민이 AI로 인한 혜택을 피부로 느끼도록 AI 확산에 총 7102억원을 투입해 69개 과제를 추진한다. 건강·질병관리, 장애인·어르신 돌봄 등 취약계층 분야를 중심으로 AI를 도입하는 ‘국민 일상 속 AI 행복 확산’에 755억원을 투입해 18개 과제를 추진한다.

제조와 농업 분야를 혁신하는 ‘일터 현장의 AI 융합·접목’ 사업으로 24개 과제 2881억원을 들인다. ‘공공행정 AI 내재화’와 ‘국민 AI 역량 제고 및 AI 윤리’에도 각각 1157억원, 2309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국민의 AI 서비스 경험률을 작년 51%에서 올해 60%로, 기업의 AI 도입률은 28%에서 40%로 높인다는 목표다. 공공 부문 AI 도입률은 55%에서 80%까지 끌어올린다.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AI 기술 혁신과 전 산업의 AI 대전환 등을 통해 미국 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AI G3’로 도약한다는 목표도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베인앤컴퍼니 연구 결과 한국이 경제 전반에 AI를 성공적으로 도입할 경우 2026년 기준 연간 310조원의 경제효과가 창출되는 것으로 예상됐다. 연평균 1.8%포인트 수준의 추가 경제 성장 효과도 기대된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1.02(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