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취재 뒷 얘기

한국에 진출한 일본기업 상황은?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차완용 한경비즈니스 기자) 일본 기업들이 한국을 떠나고 있다. 지난해 7월 일본의 수출 규제로 시작된 ‘일본 불매 운동’의 여파로 매출액이 많이 감소한 데다 올 2월 말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 불황까지 겹치자 더는 버티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기업부터 의류 기업까지 지난 5월에만 4개 기업이 철수를 발표했다. 3월에도 1개 기업이 철수했으니 총 5개 기업이 철수 또는 철수 수순을 밟고 있다. 여기에 실적 악화에 시달리는 기업들도 여럿이어서 앞으로 한국을 떠나는 일본 기업들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중략)

일본 기업 중엔 매출 압박에 시달리며 위태로운 나날을 보내는 곳도 여럿이다. 언제 철수를 결정해도 이상할 것이 없는 상황이다.

가장 대표적인 곳이 햄버거 브랜드 모스버거다. 2018년 국내에 23개까지 매장 수를 늘렸지만 일본 상품 불매 운동 이후 매장을 순차적으로 폐점시켜 현재 전국에 10여 개도 남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화장품 브랜드 DHC 역시 불매 운동으로 H&B스토어를 비롯한 이커머스 등 주요 온·오프라인 판매 채널에서 퇴출당해 제대로 된 영업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미니스톱 역시 불매 운동의 여파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일본미니스톱의 유가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미니스톱은 2019 회계연도(2019년 3월~2020년 2월)에 전년 대비 9.4% 감소한 1조1953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데 그쳤다.

영업이익은 28억원으로 2018년 대비 50.8% 급감했다. 당기순손실은 13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 전환됐다.

이 밖에 일본 기업들의 실적 악화는 심각한 수준이다. 데상트코리아는 불매 운동이 있기 전까지 큰 폭의 성장세를 자랑했다. 2002년 207억원에 달했던 매출액은 2018년 7270억원까지 성장했다.

하지만 불매 운동으로 국내 스포츠 시장의 메카인 강남대로에서 매장을 철수하는 수모를 겪었다. 지난해 매출액은 6156억원으로 전년 대비 15.3%, 영업이익은 90억원으로 86.7% 대폭 급감했다.

유니클로와 지유를 전개하는 에프알엘코리아 역시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31.3% 감소한 9749억원,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돼 손실액이 19억원에 달했다. 유니클로가 국내에서 연매출 1조원 미만을 기록한 것은 2014년 이후 처음이다.

일본의 대표 생활용품 브랜드로 꼽히는 무인양품도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지난해 매출이 9.8% 하락한 1243억원에 불과했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돼 손실액은 71억원에 달했다.

일본 맥주 역시 한국 시장에서 맥을 못 추고 있다. 지난해 일본 맥주 수입액은 49.2% 감소하면서 3976만 달러(약 478억원)를 기록해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일본 맥주 수입액이 줄어든 것은 14년 만에 처음이다.

이에 따라 업체들도 실적 부진이 심각한 상황이다. 롯데아사히주류의 지난해 매출은 623억원으로 전년 1248억원 대비 절반으로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66억원에서 182억원 손실로 돌아섰다.

물론 불매 운동의 여파를 거의 받지 않은 브랜드도 있다. 일본 ABC마트가 99.96%의 지분을 소유한 신발 편집숍 ABC마트코리아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6.7% 늘어난 5459억원으로, 시장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일본에 나가 있는 한국 기업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실시한 ‘한·일 관계 악화에 따른 주일 한국 기업 영향 설문 조사’에 따르면 주일 한국 기업의 53.1%가 최근 한·일 관계가 악화됨에 따라 영업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응답했다.

‘매우 부정적’이 6.2%, ‘부정적’이라는 답변이 46.9%였다. 악화된 분야로는 ‘신규 거래처 및 신사업 발굴의 곤란’이 37.3%로 가장 많았다. ‘일본 소비자의 한국산 제품 인식 악화(28.8%)’, ‘증빙 서류 강화 등 일본 정부의 재량 권한의 엄격화(15.3%)’가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기업 중 31.2%는 실제로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감소의 범위는 ‘20% 이내’가 85.0%로 가장 많았다. ‘21~40%’에 이르는 기업도 10.0%를 차지해 한·일 관계 냉각에 따른 일본 내 한국 기업들의 피해도 심각한 상황이다.

또한 주일 한국 기업의 절반 이상(53.1%)은 향후 한·일 관계가 지금과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20.3%)을 두 배 이상 웃도는 수치다.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도 26.6%를 차지했다. (끝) / cwy@hankyung.com 출처 한경비즈니스 제 1281호 전체 기사 바로 가기 https://buff.ly/2YsIb2d

오늘의 신문 - 2024.05.07(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