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취재 뒷 얘기

유희와 추억의 '뉴트로' 전성시대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김수정 한경 머니 기자) 바야흐로 ‘뉴트로 전성시대’다. 마케팅의 만능키로 유통업계를 점령한 것은 물론이고, 사회·문화적으로도 그 위용을 떨치고 있다. 세대불문, 대한민국을 강타한 뉴트로의 참 매력은 무엇일까.

1980~1990년대 추억이 줄줄이 강제 소환되고 있다. 회식자리엔 파란 병 진로소주가 돌아왔고, 1990년대 가수 양준일은 데뷔 28년 만에 첫 팬미팅 무대를 밟았으며, 영어 간판으로 도배됐던 번화가에는 ‘00다방’, ‘00식당’, ‘00상회’ 등 복고풍 간판과 1980~1990년대 스트리트 패션이 거리를 수놓고 있다. 레트로(복고)의 재탕인가. 아니다. 뉴트로의 탄생이다.

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친 신조어인 뉴트로는 복고를 새롭게 즐기는 경향을 말한다. 사실 예나 지금이나 복고를 즐기는 행위는 끊임없이 되풀이돼 왔다. 특히, 경기가 좋지 않을 때마다 소비자들의 기억과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 마케팅은 흥행공식과도 같았다.

하지만 현재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세대)와 Z세대(199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의 뒤를 잇는 세대)가 열광하는 뉴트로는 기존 레트로 열풍과는 그 결이 다르다. 뉴트로 유행의 핵심은 ‘새로움’과 ‘즐거움’이다. 이 트렌드를 소비하는 주체는 과거의 것을 이미 경험한 중장년층이 아닌 1020세대다. 이전의 복고 열풍인 ‘레트로’가 과거를 추억하는 것이라면, 뉴트로는 과거의 것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가 과거의 것을 새로운 것으로 인식해 즐기는 것이다.

그 흐름은 패션업계에서 가장 먼저 두드러졌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7년 출시된 휠라의 ‘디스럽터2’다. 20년 전 처음 선보였던 거칠고 투박한 운동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해 2017년 출시한 디스럽터2는 출시 1년 만에 국내에서만 100만 족이 팔리며 단숨에 10~20대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만 180만 족 이상이 판매됐고, 전 세계 판매량도 1000만 족을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신발 전문 매체 풋웨어뉴스는 ‘2018 올해의 신발’로 디스럽터2를 선정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2000년대 이후 이른바 ‘국민운동화’로 군림했던 컨버스 운동화에 실증을 느끼던 밀레니얼 세대에게 기존에 접하지 못했던 색다른 감성과 멋을 선사한 것이 주요했다는 평이다.

이에 대해 강보라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트렌드의 핵심은 ‘과거와의 완벽한 단절’에 가까웠다”며 “얼마나 기존의 것과 다르고, 새로운지가 트렌드의 기준이었다면 지금의 ‘뉴트로’ 현상은 그와 다른 선상에 있는데 그 배경에는 더 이상 ‘완전히 새로운 것은 존재하기 어렵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고 분석했다. 즉, 자기 개성이 강한 밀레니얼·Z세대들에겐 자발적으로 트렌드를 찾아내는 개인의 능력이 중요한데, 새로움의 소재를 찾는 과정에서 기존에 경험하지 못했던 옛 감성들이 신선하게 다가왔다는 것.

강 연구원은 “2000년대 초반까지의 트렌드는 여전히 소수 트렌드세터에 의해 주도되고, 대중이 그것을 따라가는 형태였다면, 지금은 각자의 개성을 부각하는 개인들이 자신만의 맥락에서 트렌드를 발견하고 정의하거나 선언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며 “뉴트로는 트렌드가 형성되는 패러다임의 인식 변화와 트렌드를 만들어 가는 주체들의 인식 변화가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친 신조어인 뉴트로는 복고를 새롭게 즐기는 경향을 말한다. 사실 예나 지금이나 복고를 즐기는 행위는 끊임없이 되풀이돼 왔다. 특히, 경기가 좋지 않을 때마다 소비자들의 기억과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 마케팅은 흥행공식과도 같았다.

하지만 현재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세대)와 Z세대(199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의 뒤를 잇는 세대)가 열광하는 뉴트로는 기존 레트로 열풍과는 그 결이 다르다. 뉴트로 유행의 핵심은 ‘새로움’과 ‘즐거움’이다. 이 트렌드를 소비하는 주체는 과거의 것을 이미 경험한 중장년층이 아닌 1020세대다. 이전의 복고 열풍인 ‘레트로’가 과거를 추억하는 것이라면, 뉴트로는 과거의 것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가 과거의 것을 새로운 것으로 인식해 즐기는 것이다.

그 흐름은 패션업계에서 가장 먼저 두드러졌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7년 출시된 휠라의 ‘디스럽터2’다. 20년 전 처음 선보였던 거칠고 투박한 운동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해 2017년 출시한 디스럽터2는 출시 1년 만에 국내에서만 100만 족이 팔리며 단숨에 10~20대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만 180만 족 이상이 판매됐고, 전 세계 판매량도 1000만 족을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신발 전문 매체 풋웨어뉴스는 ‘2018 올해의 신발’로 디스럽터2를 선정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2000년대 이후 이른바 ‘국민운동화’로 군림했던 컨버스 운동화에 실증을 느끼던 밀레니얼 세대에게 기존에 접하지 못했던 색다른 감성과 멋을 선사한 것이 주요했다는 평이다.

이에 대해 강보라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트렌드의 핵심은 ‘과거와의 완벽한 단절’에 가까웠다”며 “얼마나 기존의 것과 다르고, 새로운지가 트렌드의 기준이었다면 지금의 ‘뉴트로’ 현상은 그와 다른 선상에 있는데 그 배경에는 더 이상 ‘완전히 새로운 것은 존재하기 어렵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고 분석했다. 즉, 자기 개성이 강한 밀레니얼·Z세대들에겐 자발적으로 트렌드를 찾아내는 개인의 능력이 중요한데, 새로움의 소재를 찾는 과정에서 기존에 경험하지 못했던 옛 감성들이 신선하게 다가왔다는 것.

강 연구원은 “2000년대 초반까지의 트렌드는 여전히 소수 트렌드세터에 의해 주도되고, 대중이 그것을 따라가는 형태였다면, 지금은 각자의 개성을 부각하는 개인들이 자신만의 맥락에서 트렌드를 발견하고 정의하거나 선언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며 “뉴트로는 트렌드가 형성되는 패러다임의 인식 변화와 트렌드를 만들어 가는 주체들의 인식 변화가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친 신조어인 뉴트로는 복고를 새롭게 즐기는 경향을 말한다. 사실 예나 지금이나 복고를 즐기는 행위는 끊임없이 되풀이돼 왔다. 특히, 경기가 좋지 않을 때마다 소비자들의 기억과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 마케팅은 흥행공식과도 같았다.

하지만 현재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세대)와 Z세대(199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의 뒤를 잇는 세대)가 열광하는 뉴트로는 기존 레트로 열풍과는 그 결이 다르다. 뉴트로 유행의 핵심은 ‘새로움’과 ‘즐거움’이다. 이 트렌드를 소비하는 주체는 과거의 것을 이미 경험한 중장년층이 아닌 1020세대다. 이전의 복고 열풍인 ‘레트로’가 과거를 추억하는 것이라면, 뉴트로는 과거의 것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가 과거의 것을 새로운 것으로 인식해 즐기는 것이다.

그 흐름은 패션업계에서 가장 먼저 두드러졌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7년 출시된 휠라의 ‘디스럽터2’다. 20년 전 처음 선보였던 거칠고 투박한 운동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해 2017년 출시한 디스럽터2는 출시 1년 만에 국내에서만 100만 족이 팔리며 단숨에 10~20대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만 180만 족 이상이 판매됐고, 전 세계 판매량도 1000만 족을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신발 전문 매체 풋웨어뉴스는 ‘2018 올해의 신발’로 디스럽터2를 선정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2000년대 이후 이른바 ‘국민운동화’로 군림했던 컨버스 운동화에 실증을 느끼던 밀레니얼 세대에게 기존에 접하지 못했던 색다른 감성과 멋을 선사한 것이 주요했다는 평이다.

이에 대해 강보라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트렌드의 핵심은 ‘과거와의 완벽한 단절’에 가까웠다”며 “얼마나 기존의 것과 다르고, 새로운지가 트렌드의 기준이었다면 지금의 ‘뉴트로’ 현상은 그와 다른 선상에 있는데 그 배경에는 더 이상 ‘완전히 새로운 것은 존재하기 어렵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고 분석했다. 즉, 자기 개성이 강한 밀레니얼·Z세대들에겐 자발적으로 트렌드를 찾아내는 개인의 능력이 중요한데, 새로움의 소재를 찾는 과정에서 기존에 경험하지 못했던 옛 감성들이 신선하게 다가왔다는 것.

강 연구원은 “2000년대 초반까지의 트렌드는 여전히 소수 트렌드세터에 의해 주도되고, 대중이 그것을 따라가는 형태였다면, 지금은 각자의 개성을 부각하는 개인들이 자신만의 맥락에서 트렌드를 발견하고 정의하거나 선언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며 “뉴트로는 트렌드가 형성되는 패러다임의 인식 변화와 트렌드를 만들어 가는 주체들의 인식 변화가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끝)/ 출처 한경 머니 제177호

오늘의 신문 - 2024.05.02(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