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라이프스타일

현실 고민에 대한 선조들의 답은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정채희 한경 머니 기자) 공자 왈, 맹자 왈, <채근담>과 <탈무드>. 삶의 굽이굽이마다 꺼내드는 생의 지침서들이다. 그런데 왜, 우리 고전은 없을까.

살아가면서 누구나 고난에 처한다. 그럴 때 누구든 삶의 굽이굽이마다 꺼내드는 생의 지침서가 있다. 그것은 대개 옛 성인의 지혜가 녹아든 ‘고전’일 확률이 높다.

<논어>, <맹자>, <중용>, <대학> 등 사서에 <시경>, <서경>, <역경> 등 삼경. 여기에 수신과 처세의 고전 <채근담>까지. 동양에서 서양으로 세계관을 넓히면 고전의 범위는 더 확대된다. <성경>부터 시작해 <플라톤의 국가>, 그리스 신화인 <일리아스>, 서양판 채근담인 <탈무드>까지.

그런데 ‘생애 꼭 읽어야 할 고전 목록’ 속에 한국 고전은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오천년 유구한 역사를 지닌 한반도에 삶을 관통하는 지혜의 책 한 권이 없었을 리 만무하건만.

민족 지혜의 샘물이자 정신문화의 뿌리, 지적 유산의 총화. 어쩌면 내 삶의 길잡이로서의 고전 역시 밖이 아닌 안에서 찾아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나의 뿌리이자 나보다 시대를 더 먼저 산 조상들의 이야기 속에 담겨 있을 가능성이 높다. 시대를 뛰어넘어 삶의 지혜를 전하는 고전, 그중에서도 민족의 혈맥을 잇는 한국 고전에 우리의 길을 물었다.

‘역사는 되풀이 된다’고 했던가. 나를 둘러싼 인간,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때로 부조리하고 때로 부당하다고 느낄 때, 복잡다단한 관계와 문제들 속에서 해방되고 싶을 때. 수천 년 전에도 지금 이 땅에서, 지금의 나와 똑같은 문제로 고민했던 옛 성인들이 있었다. 선조들로부터 위안과 해답을 얻는 시간, 한국고전번역원의 도움을 받아 시대를 거스른 질의응답.

Q. 되는 일이 없고 번번이 실패합니다. 이런 제게도 희망이 있을까요.

견고하다 하지 마라. 갈다 보면 뚫리는 법이니.
勿謂堅 磨則穿(물위견 마즉천)
이가환(1742~1801년), <금대시문초(錦帶詩文抄)> 하(下) ‘윤배유연명(尹配有硏銘)’

【이승철 연구원】 조선 후기 문인 이가환이 윤배유의 벼루에 쓴 명문의 일부입니다. 옛사람들은 벼루, 연적, 거울, 지팡이 등 생활에 쓰이는 물건에 글을 새겼는데, 대부분 자신을 경계하는 뜻이나 물건의 연혁을 담은 내용이었습니다. 이 글은 끊임없이 갈다 보면 먹이 벼루를 뚫는 것처럼 아무리 어려운 학업이라도 성실한 자세로 끊임없이 연마하다 보면 성취를 얻을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 커다란 성취를 이룩한 사례는 역사에서 종종 찾을 수 있습니다. 초서체(草書體)로 일가를 이룬 중국 한나라의 서예가 장지는 연못가에서 돌에 글씨를 썼다가 물로 씻기를 수없이 되풀이해 연못물이 모두 새까맣게 변할 때까지 글씨를 연마했으며, 추사체로 널리 알려진 조선의 서화가이자 학자인 김정희는 칠십 평생 10개의 벼루를 뚫었고 1000여 자루의 붓을 닳게 할 정도로 노력을 기울였다고 합니다. (끝) / 한경머니 제 173호. 도움글 한국고전번역원. 전체 기사 바로 가기 https://buff.ly/2N1Yhcd

오늘의 신문 - 2024.05.07(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