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JOB가이드

신체검사 규정 개선되는 공무원 채용제도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김혜선 캠퍼스 잡앤조이 인턴기자)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규정’이 대폭 개선된다. 발병률이 미미하고 치료를 통해 회복이 가능하며, 업무수행에 지장이 없어 보이는 질환이 삭제된다. 인사혁신처는 이같은 내용을 토대로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규정’ 개정안을 5일 입법 예고했다.

신체검사 불합격 판정 기준은 현재 14계통 53개 항목에서 13계통 22개 항목으로 개선될 예정이다. ‘난치성 사상균성 장기질환’이나 ‘난치성 사상충병’과 같이 우리나라에서 발병률이 매우 낮은 질환이 삭제된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체계적 관리가 이뤄지고, 치료를 통해 회복이 가능한 감염병도 기준에서 제외된다.

또한, 업무수행에 큰 지장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중증 요실금, 식도협착이나 치아계통의 질환 등도 기준에서 삭제한다. 일부 기준은 개인별 업무수행 능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한편, 지나치게 세부적인 기준은 하나의 범주로 통합 개선된다.

신체검사 절차도 한 번에 합격·판정보류·불합격을 판정하던 것에서 기본검사에서 합격 판정을 받지 못한 경우 전문의의 추가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으로 개선된다. 이번 제정안은 8월 14일까지 입법예고 후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올해 안에 시행될 예정이다. 신체검사 규정은 지방공무원, 경찰, 소방, 교육 등 특정직 공무원 채용뿐 아니라 일부 공공기관까지 사용한다.

황서종 인사혁신처장은 “이번 개정은 보건‧위생과 의학기술의 발전, 기본권에 대한 의식 향상 등 변화된 환경에 맞춰 1963년 제정 이래 큰 변화 없이 유지되던 신체검사 기준과 절차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는 것”이라며 “제도의 합리성과 정확성을 높임으로써 공무원 채용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한층 두터워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끝) / hsunn0@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6.2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