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JOB가이드

신입사원이 갖춰야 할 태도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캠퍼스 잡앤조이) ‘신입’이라는 딱지를 붙이고 있다 보면 멀쩡하던 눈도 흐릿해지고, 잘 들리던 귀도 안 들리는 경험을 하게 된다. 사회라는 무대에 등판하자마자 홈런을 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현실은 드라마도 영화도 아니다. 그럼에도 현실 세계에 발을 단단하게 붙이고 인정받는 사원이 되기위해 고민하는 이들을 위해 애티튜드부터 스타일링 조언까지 두루 둘러봤다.

1. 출퇴근 시간은 꼭 지키자.

출퇴근 시간은 회사와의 약속시간이다. 출근시간이 9시라면 더 일찍 나오지는 못하더라도 9시만큼은 지키는 것이 좋다. 만약 당일 오전에 보고해야할 일이 끝나지 않은 상태라면 물론 9시 이전에 출근해서 보고에는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 퇴근시간도 마찬가지다. 내 업무가 먼저 끝났다고 야근 중인 다른 팀원에게 인사도 없이 부리나케 퇴근하는 모습은 좋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말이라도 “바쁘시죠? 제가 더 도와드릴 업무는 없을까요?” 같이 팀원을 챙기는 모습을 보여주자.

2. 모르는 건 물어보자.

입사 후 첫 업무를 맡으면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몰라 어리둥절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만약 회사 차원에서 진행하는 일을 모른다고 말하는 게 부끄러워 내 생각대로만 처리해버린다면 후에 돌이킬 수 없는 엄청난 불똥으로 번질 수 있다. 모르는 것은 물어봐야한다. 질문을 받은 상사는 신입사원이 일을 보다 잘 처리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스스로 고민을 하나도 하지 않은 채 상사에게 쪼르르 달려가지는 말자. 충분히 고민하고도 해답이 나오지 않을 때 “저는 이렇게 생각했는데 이 방법이 맞을까요?”라고 말하며 최선을 다했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더불어 이미 상사가 한두 번 알려줬는데도 물어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런 일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사소한 것이라도 메모하는 습관을 기르자.

3. ‘중간보고’는 꼭 하자.

신입사원은 스스로 내 일이 어디까지 진행중인지 당연히 알고 있지만 일을 시킨 상사는 신입사원이 말하지 않는 이상 이 친구가 잘하고 있는지, 맞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알 턱이 없다. 그래서인지 중간보고 없이 결과 보고를 하면 상사에게 깨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맡은 일을 어디까지 처리했는지, 기한 내 가능한 지, 궁금한 것은 없는지, 진척 상황은 어느 정도 되는지 꼭 미리 보고를 하자. 그리고 중간보고를 하면 그 단계에 필요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팁을 얻을 수도 있다.

4. 팀에 어울리는 모습을 보이자.

요즘 기업에서 가장 원하는 인재는 협업을 잘 할 수 있는 둥글둥글한 성격의 사람이다. 특히 내가 속한 팀의 분위기에 어울릴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영업팀은 영업팀만의 성향이 있고, 그 영업팀 안에서도 영업1팀의 성향과 영업2팀의 성향을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팀 분위기에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모습을 보이는 것을 추천한다. 팀은 보통 팀장의 성향에 따라 분위기가 좌지우지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팀장이 열정이 많은 스타일이면 나도 열정을 보이는 편이 좋고, 실리를 추구하는 스타일이면 꼭 필요한 업무를 파악하고 업무량을 과도하게 늘리지 않는 편이 좋다. (끝) / 필자 최현정 프리젠터 님은 주요 대학과 기업에서 프레젠테이션, 스피치 등의 커뮤니케이션 강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풀 기사는 캠퍼스 잡앤조이 바로가기 https://buff.ly/2T96cFu

오늘의 신문 - 2025.07.05(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