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JOB가이드

대학 창업동아리 1년새 25% 늘어… 창업 강좌수는 무려 145% 확대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이도희 캠퍼스 잡앤조이 기자) 전국 대학 창업동아리 수가 2015년 대비 2016년 1년 새 25% 증가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교육부가 2017년 대학정보공시 대상 422개 학교를 대상으로 창업현황을 조사한 결과 2015년 4380개였던 창업동아리가 2016년 5468개로 25% 가까이 늘었다. 동아리 회원 역시 3만8588명에서 4만5387명으로 17.6% 증가했다.

이중 86.6%는 자금이나 공간을 지원 받았다. 대학과 전문대학 전체 지원금액은 93억200만원으로 각 동아리당 200만원 꼴로 지급됐다. 공간지원은 각 동아리가 평균 43제곱미터를 제공 받아 사용 중이다.

이들 동아리가 출전하는 창업경진대회 수도 증가했다. 2016년 창업경진대회를 개최한 학교는 243개교로 이들은 537건을 개최했고 3만6341명이 신청해 이중 1만214명이 상을 받았다.

창업강좌 수도 크게 늘었다. 2015년 전체 291개 대학에 4262개 강좌가 개설됐던 것이 1년 만에 313개 대학, 1만461개 강좌로 개설대학은 7.6%, 강좌수는 무려 145.4% 확대했다.

창업친화적 학사제도도 모두 늘었다. 창업휴학제도 시행 대학이 2015년 191개에서 2016년 217개로 증가했고 창업대체학점인정제도 시행 대학도 100곳에서 105곳으로 5곳 늘었다. 이 밖에 창업장학금 제도, 창업특기생 선발제도, 창업강화 학점교류제, 창업학과, 창업연계전공 등 관련 제도 시행 대학이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기술 창업의 핵심인 교원창업도 2016년 195개로 전년(137개) 대비 42.3% 늘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해 과학기술기반 창업중심대학 시범사업을 위해 연세대와 고려대, 한양대를 대상 학교로 선정했다. 이들 대학에는 한해 동안 3억원에서 7억원까지 총 15억원이 차등 지원된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와 교육부는 그간 개별적으로 작성하던 대학창업인프라 실태조사(중기부)와 대학 산학협력활동 실태조사(교육부)를 일원화하고 ‘대학 창업통계 선진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발표자료가 첫 조사 결과다.

오늘의 신문 - 2024.06.18(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