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취재 뒷 얘기

‘뜨는 상권’의 그늘, 젠트리피케이션 해법을 찾아서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차완용 한경비즈니스 기자)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재개발·뉴딜정책 등 도시 재생 사업으로 낙후된 도심 지역이 개발되면 자연스럽게 그 지역의 부동산 가치가 올라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임대료 등 높아진 비용을 지불하기 힘든 원래 거주민들은 결국 다른 지역으로 쫓겨나듯 이주한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씁쓸하지만 어느덧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백안시할 수만은 없다. 투자와 보상이라는 자본주의의 결과물이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젠트리피케이션은 낙후된 도시를 재생시켜 새로운 도시로 만들어 주는 긍정적인 역할도 한다.

대표적인 곳이 미국 뉴욕의 ‘소호’거리다. 도시 재생을 통해 문화적 색깔을 덧입히고 세계의 관광객들을 불러들였다. 수많은 글로벌 상권들이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탄생했다. 젠트리피케이션 자체가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는 용어는 아닌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부정적’으로 다가오는 이유는 두 가지다.

먼저 젠트리피케이션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기 때문이다. 매우 짧은 기간에 특정 장소에서 집중적으로 과다하게 일어나고 있다.

서울시의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된 서촌과 성수동은 빠른 속도로 근린 상점이 감소했다.

서촌은 2011~2013년 근린 상점이 연평균 14.7% 줄었고 성수동은 2013~2015년 13.4% 줄었다. 한국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얼마나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둘째, 이보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최종 이익’이 원래 거주민이나 오랜 기간 ‘텃밭’을 일궈 온 기존 상인들에게 돌아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종로구 서촌과 성동구 성수동 상권을 비롯해 곳곳에서 자체적인 ‘상생 협약’을 체결하고 해법을 찾고 있다. 정부 역시 기존 상인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임대 기간을 늘리는 방안도 고민 중이다.

하지만 쉽지 않다. 그러면 다른 나라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까. 해외의 글로벌 상권들은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어떤 방안을 고민하며 상인과 건물주 등 상권의 모든 구성원들이 ‘상생’할 수 있는 길을 찾아가고 있을까. 지금부터 우리가 하려는 이야기는 바로 이런 것이다.

한경비즈니스 5명의 기자들이 태국 방콕,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일본 도쿄, 미국 뉴욕, 중국 베이징을 다녀왔다. 글로벌 상권들의 젠트리피케이션 상생 해법 찾기.

그 첫째로 정부의 노력으로 젠트리피케이션을 극복한 태국 사례를 소개한다. (끝)/ cwy@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4.05.02(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