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바로가기

뉴스인사이드

테라노스의 추락(1)…젊고 예쁜 CEO에 홀렸나

글자작게 글자크게 인쇄 목록으로

(이상은 국제부 기자) 바이오 기술 분야는, 사실 어렵다. 신기술이라고 주장하는 것의 진위를 일반인은 알기 힘들다. 전문가들의 판단에 의존한다고 하는데 그들이 객관적으로 잘 판단해 주면 다행이지만 자신들만의 네트워크에 의해 때론 정보가 왜곡되기도 한다. 한 마디로 속기 쉬운 동네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인들은 황우석의 줄기세포 때문에 트라우마가 있다. 그래도 계속 속는다. 그나마 위안이 되는 점은, 우리만 그런 것은 아니라는 것 뿐이다.

미국에서는 최근 젊고 아름다운 여성 최고경영자(CEO)가 창업한 바이오 기술회사 ‘테라노스’가 화제다. 지난 가을까지만 해도 이 회사는 엄청난 주목을 받으며 새 시대를 이끌 ‘유니콘(잠재력이 매우 큰 스타트업)’ 중 하나로 꼽혔다. 언론의 보도도 쏟아졌다. 무엇보다도 CEO 사진이 화보였다.

1984년생 창업자 엘리자베스 홈스(31)는 미국 스탠퍼드대를 중퇴하고 회사를 차렸다. 대학 재학 중 싱가포르 게놈 연구소에서 인턴으로 근무했다. 혈액 검사를 하기 위해 다량의 혈액을 뽑아내야 할 필요가 있는지에 의문을 가졌고, 종전의 1000분의 1 수준 혈액만 뽑아내 30여가지 질병을 검사할 수 있는 키트를 개발했다. 1960년대 이후 정체 상태였던 시장에 충격을 줬다. 지난 7월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이 뉴저지주 뉴어크에 있는 연구실을 방문해서 칭찬을 했을 정도로 주목을 받았다.

여기까지가 그간의 스토리다. 문제는, 그래서 개발했다는 그 제품이 진짜로 홍보한 만큼의 성능을 갖추었느냐다. 지난 10월27일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테라노스가 그간 써 왔던 작은 채혈용기 ‘나노테이너’가 ‘불명확한 의료기기’라고 판정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 회사의 기술력에 의문을 제기한지 약 2주 만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 기사에서 테라노스 전 직원, 의사, 간호사 등과 인터뷰해서 테라노스가 홍보한 240여가지 혈액검사 항목 중 15개 항목만 테라노스의 기술인 ‘에디슨’을 통해 검사된다고 보도했다. 나머지는 원래 하던 대로 지멘스 등의 기기로 했다는 것이다. 또 에디슨의 결과물의 정확성에도 의문이 제기됐다. FDA 허가 없이 기술이 시장에 공개된 것도 문제로 꼽혔다.

테스트가 원하는 대로 나오지 않자 테라노스의 기기 대신 다른 장비로 테스트를 하고 그 결과를 적으라고 지시하기도 하고, 혈액을 너무 적게 뽑아 희석해 쓰다가 수치가 왜곡되기도 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어 전직 직원들이 회사를 고발하면서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CMS)가 조사에 착수했다고 21일 후속 보도했다.

물론 홈스는 아직 젊으니 사법적인 책임을 지지만 않는다면 또 다른 시도를 해 볼 여지가 없지는 않을 것이다. 미국은 기업인에게 관대하지만, 기업가의 부정에는 엄격하다. 테라노스와 홈스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볼 일이다. (끝) /selee@hankyung.com

오늘의 신문 - 2025.07.01(화)